R 데이터 구조(structure), 유형(class) 에 대해서 예전에 포스팅을 했던 적이 있습니다.

 

R 데이터 구조(structure)에는 스칼라(scala), 벡터(vector), 요인(factor), 행렬(matrix), 데이터프레임(dataframe), 리스트(list) 가 있다고 소개를 해드렸습니다. (☞ R 데이터 구조 포스팅 보러가기)

 

그리고 R 데이터 유형(class)에는 숫자형 (numeric), 문자형 (character), 요인형 (factor) 등이 있다고 말씀드렸습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R 데이터 객체의 유형을 (1) 확인, (2) 전환 하는 함수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숫자형, 문자형에 대해서는 쉽게 알 수 있으므로, 요인형(factor)이 뭐고 왜 필요한 지에, 어디에 써 먹는지에 대해서 먼저 간략히 소개를 드린 후에 객체 유형 확인, 전환 함수로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왜 공부해야 하는지도 모르면서 진도를 빼면 다 배우고 나서 'so what?' 하겠지요?  (물론, 나중에 통계분석, 그래프 쪽 가면 그때 가서 '아, 이래서 이거 배웠었구나...'하고 한번 더 복습하시면 되겠습니다.)

 

 

요인(factor)은 무엇이고, 어디에 써먹나? 

 

일단, 요인(factor)은 "~별 숫자형 벡터의 평균, ~별 숫자형 벡터의 합계" 등과 같이 요약 통계량을 집단이나 특성에 따라서 분석할 때 사용합니다. OLAP으로 치자면 '차원(dimension)' 역할을 하는 것이 되겠습니다.

 

MASS 패키지에 내장된 Cars93 데이터 프레임 내 변수들을 가지고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자동차 Type(Levels: Compact, Large, MidsizeSmall, Sporty, Van) 요인별로 고속도로 연비(MPG.highway)의 평균(mean)을 계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library(MASS) > str(Cars93) # 데이터 구조 데이터 프레임, 관측치 93개, 변수 27개 'data.frame': 93 obs. of 27 variables: $ Manufacturer : Factor w/ 32 levels "Acura","Audi",..: 1 1 2 2 3 4 4 4 4 5 ... $ Model : Factor w/ 93 levels "100","190E","240",..: 49 56 9 1 6 24 54 74 73 35 ... $ Type : Factor w/ 6 levels "Compact","Large",..: 4 3 1 3 3 3 2 2 3 2 ... $ Min.Price : num 12.9 29.2 25.9 30.8 23.7 14.2 19.9 22.6 26.3 33 ... $ Price : num 15.9 33.9 29.1 37.7 30 15.7 20.8 23.7 26.3 34.7 ... $ Max.Price : num 18.8 38.7 32.3 44.6 36.2 17.3 21.7 24.9 26.3 36.3 ... $ MPG.city : int 25 18 20 19 22 22 19 16 19 16 ... $ MPG.highway : int 31 25 26 26 30 31 28 25 27 25 ... $ AirBags : Factor w/ 3 levels "Driver & Passenger",..: 3 1 2 1 2 2 2 2 2 2 ... $ DriveTrain : Factor w/ 3 levels "4WD","Front",..: 2 2 2 2 3 2 2 3 2 2 ... $ Cylinders : Factor w/ 6 levels "3","4","5","6",..: 2 4 4 4 2 2 4 4 4 5 ... $ EngineSize : num 1.8 3.2 2.8 2.8 3.5 2.2 3.8 5.7 3.8 4.9 ... $ Horsepower : int 140 200 172 172 208 110 170 180 170 200 ... $ RPM : int 6300 5500 5500 5500 5700 5200 4800 4000 4800 4100 ... $ Rev.per.mile : int 2890 2335 2280 2535 2545 2565 1570 1320 1690 1510 ... $ Man.trans.avail : Factor w/ 2 levels "No","Yes": 2 2 2 2 2 1 1 1 1 1 ... $ Fuel.tank.capacity: num 13.2 18 16.9 21.1 21.1 16.4 18 23 18.8 18 ... $ Passengers : int 5 5 5 6 4 6 6 6 5 6 ... $ Length : int 177 195 180 193 186 189 200 216 198 206 ... $ Wheelbase : int 102 115 102 106 109 105 111 116 108 114 ... $ Width : int 68 71 67 70 69 69 74 78 73 73 ... $ Turn.circle : int 37 38 37 37 39 41 42 45 41 43 ... $ Rear.seat.room : num 26.5 30 28 31 27 28 30.5 30.5 26.5 35 ... $ Luggage.room : int 11 15 14 17 13 16 17 21 14 18 ... $ Weight : int 2705 3560 3375 3405 3640 2880 3470 4105 3495 3620 ... $ Origin : Factor w/ 2 levels "USA","non-USA": 2 2 2 2 2 1 1 1 1 1 ... $ Make : Factor w/ 93 levels "Acura Integra",..: 1 2 4 3 5 6 7 9 8 10 ...




 
> head(Cars93) # 상위 6개 관측치
  Manufacturer   Model    Type Min.Price Price Max.Price MPG.city MPG.highway            AirBags DriveTrain
1        Acura Integra   Small      12.9  15.9      18.8       25          31               None      Front
2        Acura  Legend Midsize      29.2  33.9      38.7       18          25 Driver & Passenger      Front
3         Audi      90 Compact      25.9  29.1      32.3       20          26        Driver only      Front
4         Audi     100 Midsize      30.8  37.7      44.6       19          26 Driver & Passenger      Front
5          BMW    535i Midsize      23.7  30.0      36.2       22          30        Driver only       Rear
6        Buick Century Midsize      14.2  15.7      17.3       22          31        Driver only      Front
  Cylinders EngineSize Horsepower  RPM Rev.per.mile Man.trans.avail Fuel.tank.capacity Passengers Length Wheelbase
1         4        1.8        140 6300         2890             Yes               13.2          5    177       102
2         6        3.2        200 5500         2335             Yes               18.0          5    195       115
3         6        2.8        172 5500         2280             Yes               16.9          5    180       102
4         6        2.8        172 5500         2535             Yes               21.1          6    193       106
5         4        3.5        208 5700         2545             Yes               21.1          4    186       109
6         4        2.2        110 5200         2565              No               16.4          6    189       105
  Width Turn.circle Rear.seat.room Luggage.room Weight  Origin          Make
1    68          37           26.5           11   2705 non-USA Acura Integra
2    71          38           30.0           15   3560 non-USA  Acura Legend
3    67          37           28.0           14   3375 non-USA       Audi 90
4    70          37           31.0           17   3405 non-USA      Audi 100
5    69          39           27.0           13   3640 non-USA      BMW 535i
6    69          41           28.0           16   2880     USA Buick Century
>

> > # 함수 명령문 형식: with(dataset, tapply(numeric vector, factor, function)) > with(Cars93, tapply(MPG.highway, Type, mean)) Compact Large Midsize Small Sporty Van 29.87500 26.72727 26.72727 35.47619 28.78571 21.88889

 

 

 

그래프를 그릴 때도 요인(factor)별로 구분해서 그린 후에 비교를 해보면 인사이트를 뽑아내는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ggplot2 패키지를 이용해서 자동차 Type(Levels: Compact, Large, MidsizeSmall, Sporty, Van) 요인별로 고속도로 연비(MPG.highway)의 히스토그램을 그려보도록 하겠습니다.

 

> install.packages("ggplot2") # ggplot2 패키지 설치

> library(ggplot2) # ggplot2 패키지 호출

> # 명령식 형식: qplot(numeric vector, data=dataset, facets=factor~. , binwidth=n) > qplot(MPG.highway, data=Cars93, facets = Type~. , binwidth=2)

 

 

 

 

 그래프의 오른쪽에 보면 6개의 자동차 Type별로 구분이 되어서 히스토그램이 그려졌음을 알 수 있습니다.

 

위의 2개의 예에서 보는 것처럼 요인(factor)이 통계분석, 그래프 분석에 유용하게 쓰이므로, 반드시 요인(factor)으로 데이터 객체를 관리해야 하는것이 생깁니다. '요인'이 들어와 있어야 할 자리에 '숫자형'이나 '문자형'이 들어와 있으면 '요인형'을 넣어서 써야 하는 함수 명령문이 안 먹겠지요.  반면에, 문자(character)나 숫자(numeric)로 인식을 해야 하는게 있는데 R에 요인(factor)로 잘못 인식이 된 경우도 있을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에러가 나는 주요 범인이 되곤 합니다. 

 

그래서 데이터셋을 받으면 제일 처음 하는 일이 str(), head()로 데이터셋의 구조, 변수, 관측치 등을 살피고, 그 다음으로 class()로 데이터 객체별 속성을 확인해보는 것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그리고 분석가가 원하는 속성으로 데이터가 안들어가 있다면 속성을 분석 목적에 맞게 전환해줄 필요가 생깁니다.

 

 

 

데이터 속성 확인 및 속성 전환 

 

 데이터 속성 확인 및 속성 전환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아래의 텍스트 파일을 불러와서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실습 파일 아래 다운로드 ☞ ) 

cust_profile_2.txt

 

불러오고 나면 이렇게 생긴 데이터 프레임이 되겠습니다

 

데이터셋의 성격/분석 목적 상 'cust_id'는 character, 'last_name'도 character, 'age'는 numeric, 'gender'는 factor 로 입력되어야 합니다.

그런데 데이터셋이 실제로 어떻게 입력되었는지 2개의 case로 나누어서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stringsAsFactor = FALSE   로 한 경우 (요인으로 인식하지 말라는 옵션)

 

> # 외부 텍스트 파일 불러오기 (위에 파일 링크 다운로드 해서 사용 가능)

> cust_profile_1 <- read.table("C:/Users/user/Documents/R/cust_profile_2.txt", + header = TRUE, + sep = ",", + stringsAsFactor = FALSE, + na.strings = "") >

> is.character(cust_profile_1$cust_id) # 문자형 여부 속성 확인 [1] FALSE

> is.character(cust_profile_1$last_name) [1] TRUE > is.numeric(cust_profile_1$age) # 숫자형 여부 속성 확인 [1] FALSE > is.factor(cust_profile_1$gender) # 요인형 여부 속성 확인 [1] FALSE > > sapply(cust_profile_1, class) # 한꺼번에 cust_profile_1 데이터셋에 class() 함수를 적용하라는 명령문 cust_id last_name age gender "integer" "character" "character" "character"

 

 

'last_name'만 character로 원하는 속성으로 들어가 있고, 나머지는 R이 저의 맘을 몰라주고 R 마음대로 데이터 속성이 들어가 있습니다.

'gender'는 남/녀 성별 통계분석이나 그래프 그릴 때 요인(factor)으로 요긴하게 써먹어야 하므로 문자형(character)를 요인형(factor)로

as.factor() 함수를 써서 전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cust_profile_1$gender <- as.factor(cust_profile_1$gender)
> is.factor(cust_profile_1$gender)
[1] TRUE



요인형의 값으로서, 미리 정해진(predefined), 한정된 수의 범주형 값(finite number of categorical values)을 수준(levels) 이라고 합니다. 요인 데이터의 수준을 확인하거나 지정, 변경하려면 levels() 함수를 사용합니다.  


> # level check

> levels(cust_profile_1$gender)

[1] " F" " M"

> # change levels' name from {"F", "M"} to {"FEMALE", "MALE"}

> levels(cust_profile_1$gender) <- c("FEMALE", "MALE")

> levels(cust_profile_1$gender)

[1] "FEMALE" "MALE"  



혹은 factor() 함수labels 옵션을 사용해서 아래처럼 할 수도 있습니다. 



> cust_profile_1$gender <- factor(cust_profile_1$gender, labels = c("FEMALE", "MALE")

 




다음으로, stringsAsFactor = TRUE 로 했을 때는 어떻게 데이터를 불어오는지 알아보겠습니다.

 

 

 (2) stringsAsFactor = TRUE   로 한 경우 (요인으로 인식하라는 옵션)

 

> cust_profile_2 <- read.table("C:/Users/user/Documents/R/cust_profile_2.txt", 
+                              header = TRUE, 
+                              sep = ",", 
+                              stringsAsFactor = TRUE, 
+                              na.strings = "")
> 
> sapply(cust_profile_2, class)
  cust_id last_name       age    gender 
"integer"  "factor"  "factor"  "factor" 
> 
> 
> cust_profile_2$cust_id <- as.character(cust_profile_2$cust_id)
> cust_profile_2$age <- as.numeric(cust_profile_2$age)
> sapply(cust_profile_2, class)
    cust_id   last_name         age      gender 
"character"    "factor"   "numeric"    "factor"

 

 

'gender'는 요인(factor)로 제대로 불러왔는데요, 명목형 변수인 'cust_id'는 문자형(character)가 아닌 숫자형(interger)로, 'last_name'을 문자형(character)가 아닌 요인형(factor)로, 'age'를 숫자형(numeric)이 아닌 요인형(factor)로 잘못 불러왔습니다.

 

자, 이제 아래 표 처럼 이터 특성/분석 목적에 맞게 데이터 속성을 전환 시켜 보도록 하겠습니다.

 

 변수명

 기존 속성

전환 후 속성

 속성 전환 함수

 cust_id

numeric

 character

 as.character()

 last_name

 factor

 character

 as.character()

 age

 factor

 numeric

 as.numeric()

 gender

 factor

 factor

 as.factor()

 

'gender'는 이미 요인형(factor)로 제대로 잘 들어가 있기 때문에 아래 예시에서는 별도로 속성 전환하지는 않았습니다.  

 

> cust_profile_2$cust_id <- as.character(cust_profile_2$cust_id)
> cust_profile_2$last_name <- as.character(cust_profile_2$last_name)
> cust_profile_2$age <- as.numeric(cust_profile_2$age)
>

> sapply(cust_profile_2, class) cust_id last_name age gender "character" "character" "numeric" "factor"

 

많은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이번 포스팅이 도움이 되었다면 아래의 '공감 ~♡' 단추를 꾸욱 눌러주세요.^^

 

728x90
반응형
Posted by Rfriend
,

R의 장점이자 특징 중의 하나가 벡터 연산이 가능해서 프로그램을 깔끔하게 짤 수 있고 연산처리 속도가 빠르다는 점, Indexing을 활용하면 필요한 벡터 객체만 가져다가 다시 프로그램의 input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 등에 대해 이전에 소개해준 적이 있는데요,

 

그럼 이번에는 벡터 끼리 혹은 벡터와 스칼라 간에 비교할 때 쓰는 비교/논리 연산자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벡터의 비교/논리 연산자 

 

 

-- 비교 연산자 --

 

(1) ~ 보다 크다 :  >

 

aa, bb 라는 벡터와 cc 라는 스칼라를 만들어서 비교/논리 연산자를 실습해 보겠습니다.

 

> aa <- c(1, 2, 3, 4, 5, 6, 7) # 벡터
> bb <- c(7, 6, 5, 4, 3, 2, 1) # 벡터
> cc <- c(4) # 스칼라
> 
> aa > bb
[1] FALSE FALSE FALSE FALSE  TRUE  TRUE  TRUE
> aa > cc
[1] FALSE FALSE FALSE FALSE  TRUE  TRUE  TRUE

 

'>' 연산자를 실행하면 'TRUE', 'FALSE'와 같은 논리형 벡터가 아래에 출력됩니다.

 

'aa' 벡터는 구성요소가 7개인 반면에, 'cc' 스칼라는 구성요소가 1개 밖에 없는데도 비교 연산이 되었습니다. 이처럼 서로 구성요소의 개수가 다르면 스칼라가 R 내부적으로 7번 반복이 되어서 순환연산이 실행되었습니다.  벡터끼리 연산할 때도 서로 개수가 다르면 개수가 작은 쪽이 순환연산이 이루어져서 서로 짝을 맞추어서 연산이 실행됩니다.

 

 

(2) ~ 보다 크거나 같다 : >=

 

> aa >= bb
[1] FALSE FALSE FALSE  TRUE  TRUE  TRUE  TRUE
> aa >= cc
[1] FALSE FALSE FALSE  TRUE  TRUE  TRUE  TRUE

 

 

(3) ~ 보다 작다 : <

 

> aa < bb
[1]  TRUE  TRUE  TRUE FALSE FALSE FALSE FALSE
> aa < cc
[1]  TRUE  TRUE  TRUE FALSE FALSE FALSE FALSE 

 

 

(4) ~ 보다 작거나 같다 : <=

 

> aa <= bb
[1]  TRUE  TRUE  TRUE  TRUE FALSE FALSE FALSE
> aa <= cc
[1]  TRUE  TRUE  TRUE  TRUE FALSE FALSE FALSE
> aa =< cc
Error: unexpected '<' in "aa =<"

 

세번째 명령어에 보면 부호의 순서가 '=<' 처럼 '~보다 같거나 작다'의 순서로 했더니 에러가 났습니다. '<=' 처럼 '~보다 작거나 같다'의 순서로 부호 사용하기 바랍니다.

 

 

(5) 서로 같다 : ==

 

> aa == bb
[1] FALSE FALSE FALSE  TRUE FALSE FALSE FALSE
> aa == cc
[1] FALSE FALSE FALSE  TRUE FALSE FALSE FALSE

 

R에서 객체를 할당할 때 '<-' 또는 '=' 를 사용하는데요, 비교 연산자의 '==' 과 헷갈리지 않도록 합니다.

 

 

(6) 서로 같지 않다 : !=

 

> aa != bb
[1]  TRUE  TRUE  TRUE FALSE  TRUE  TRUE  TRUE
> aa != cc
[1]  TRUE  TRUE  TRUE FALSE  TRUE  TRUE  TRUE
> aa =! cc
> 

 

 

서로 같지 않다도 부호의 순서를 '!=' 로 해야지만 논리형 벡터가 결과 값으로 나옵니다. 세번째 줄처럼 '=!'로 하면 논리형 벡터 결과가 안나오니 순서 주의하세요.

 

 

 

-- 논리 연산자 --

 

(7) 동시에 조건 만족 (aa AND bb)  : aa & bb

 

> aa <- c(1, 2, 3, 4, 5, 6, 7) # 벡터 > bb <- c(7, 6, 5, 4, 3, 2, 1) # 벡터 > cc <- c(4) # 스칼라

>

> aa > 3 & aa < 6
[1] FALSE FALSE FALSE  TRUE  TRUE FALSE FALSE
> aa >= 3 & aa <= 6
[1] FALSE FALSE  TRUE  TRUE  TRUE  TRUE FALSE

 

 

 

 

(8) 또는 조건 만족 (aa OR bb) : aa | bb

 

> aa < 3 | aa > 6
[1]  TRUE  TRUE FALSE FALSE FALSE FALSE  TRUE
> aa <= 3 | aa >= 6
[1]  TRUE  TRUE  TRUE FALSE FALSE  TRUE  TRUE 

 

 

-- 논리 연산자에 대한 추가 연산 --

 

(9) 조건 만족하는 논리형 벡터에 대한 합계, 평균 : sum(), mean()

 

> sum(aa > 3 & aa < 6)
[1] 2
> sum(aa < 3 | aa > 6)
[1] 3
> mean(aa > 3 & aa < 6)
[1] 0.2857143
> mean(aa < 3 | aa > 6)
[1] 0.4285714

 

R은 'TRUE'는 '1'로, 'FALSE'는 '0'으로 내부적으로 인식합니다. 따라서 sum()이나 mean() 과 같은 숫자형 벡터에 대한 통계 함수를 사용할 수가 있습니다.

 

 

(10) 비교/논리 연산 결과에 대해 하나라도 (any) 혹은 전부(all) TRUE 가 있는지 여부 확인 : any(), all()

 

> any(aa > 3 & aa < 6)
[1] TRUE
> all(aa > 3 & aa < 6)
[1] FALSE
> any(aa > 8)
[1] FALSE
> any(aa == 1)
[1] TRUE
> all(aa == 1)
[1] FALSE

 

 

위의 (1) ~ (9)번까지의 예들이 1~7까지의 혹은 7~1까지의 몇 개 안되는 구성요소를 가지고 예를 들다보니 눈으로 보면 TRUE가 뭐고 몇 개인지 바로 알 수 있지만요, 실제 분석할 때는 많은 경우 관측치 수가 수 만개, 수 백만개, 수 천만개가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때 일일이 육안으로 TRUE, FALSE를 확인한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비교/논리 연산 결과에 대해 sum(), mean(), any(), all() 등과 같은 함수를 적절히 활용해서 즉시 데이터 셋에 대한 상황 파악(탐색)을 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번 포스팅이 도움이 되었다면 아래의 '공감 ~♡' 단추를 꾸욱 눌러주세요.^^

 

728x90
반응형
Posted by Rfriend
,

통계는 크게 표본의 (a) 도수 분포와 중심화 경향, 그리고 퍼짐 정도를 측정하여 집단의 특성에 대해서 기술하는 기술통계(descriptive statistics)와, (b) 기술통계량을 가지고 모집단의 parameter 값 (모평균, 모분산 등)을 추정하고 가설을 검증하는 추정통계(inferential statistics)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R에서 벡터를 대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술 통계 관련 함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R 기술통계 함수

 

-- 분포 및 중심화 경향 --

 

(1) 평균 : mean(x)

 

> x <- c(1, 2, 3, 4, 5, 6, 7, 8, 9, 10)
> mean(x)
[1] 5.5 

 

 

(2) 중앙값 : median(x)

 

> x <- c(1, 2, 3, 4, 5, 6, 7, 8, 9, 10)
> median(x)
[1] 5.5
> y <- c(1, 2, 3, 4, 5, 6, 7, 8, 9)
> median(y)
[1] 5

 

벡터 x가 홀수개이면 정 가운데 값을 중앙값을 가져오지만, 위의 case와 같이 x가 짝수개 이면 정가운데의 양쪽 두개의 값을 가져다가 평균을 내서 중앙값을 계산합니다.

 

 

(3) 최소값 : min(x)

 

> min(x)
[1] 1
> min(y)
[1] 1 

 

 

which.min(my_vec) 은 최소값이 있는 위치의 index 를 반환합니다. NA가 포함되어 있는 vector의 경우 min(my_vec) 이 NA를 반환한데 반해서 (NA에 대한 전처리 필요), my_vec[wich.min(my_vec)] 처럼 최소값을 ndexing을 해오면 '-12'를 반환했습니다.

 

 

> my_vec <- c(-5, 3, 10, 3, -12, NA)
> my_vec
[1]  -5   3  10   3 -12  NA
> 
> min(my_vec)
[1] NA
> 
> which.min(my_vec) # index of min value in 'my_vec' vector
[1] 5
> 
> my_vec[which.min(my_vec)]
[1] -12

 

 

 

 

(4) 최대값 : max(x)

 

> max(x)
[1] 10
> max(y) 

 

> my_vec <- c(-5, 3, 10, 3, -12, NA)
> my_vec
[1]  -5   3  10   3 -12  NA
> 
> max(my_vec)
[1] NA
> 
> which.max(my_vec) # index of max value in 'my_vec' vector
[1] 3
> 
> my_vec[which.max(my_vec)]
[1] 10 

 

 

 

(5) 범위 : range(x)

 

> range(x)
[1]  1 10
> range(y)
[1] 1 9 

 

 

(6) IQR(Inter-Quartile Range) : IQR(x)

 

> IQR(x)
[1] 4.5
> IQR(y)
[1] 4 

 

 

(7) 중심화 경향 및 분포 요약 : summary(x)

 

> summary(x)
   Min. 1st Qu.  Median    Mean 3rd Qu.    Max. 
   1.00    3.25    5.50    5.50    7.75   10.00 

 

숫자형 벡터의 경우 summary() 함수가 위의 1번에서 6번까지 함수를 한번에 처리할 수 있는 유용한 함수가 되겠습니다.

 

 

-- 퍼짐 정도 --

 

(8) 분산 : var(x)

 

> var(x)
[1] 9.166667
> var(y)
[1] 7.5 

 

 

(9) 표준편차 : sd(x)

 

> sd(x); sd(y)
[1] 3.02765
[1] 2.738613 

 

참고) 세미콜론 ';' 을 사용하면 같은 줄에 R 명령어를 연속으로 해서 쓸 수 있습니다

 

 

-- 확률분포의 비대칭 정도 --

 

(10) 왜도

 

> install.packages("fBasics") # 왜도, 첨도 분석 가능한 package 설치 > library(fBasics) # package 호출 > hist(mtcars$mpg)

 

 

 

 

 

 

> skewness(mtcars$mpg) [1] 0.610655 attr(,"method") [1] "moment"

 

 

R에 왜도와 첨도를 위한 함수가 내장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별도 패키지(fBasics)를 설치해야 합니다.

자동차 정보가 들어있는 mtcars 데이터 프레임의 연비에 대해서 히스토그램을 그려보니 평균보다 왼쪽으로 치우쳐 있고 오른쪽으로 꼬리가 긴 분포를 띠고 있네요. 그러면 왜도(skewness) 가 '0'보다 크게 나타납니다. (공식이 평균에서 관측치를 뺀 값을 3제곱 하기 때문이예요) 위 예에서는 왜도가 0.61로 '0'보다 크게 나왔지요. 정규분포의 평균과 일치하면 왜도는 '0'이 되고, 반대로 평균보다 오른쪽으로 값이 치우쳐 있고 왼쪽으로 꼬리가 길면 왜도는 '0'보다 작은 값이 나옵니다.

 

 

(11) 첨도

 

> kurtosis(mtcars$mpg)
[1] -0.372766
attr(,"method")
[1] "excess"

 

관측값이 정규분포보다 뾰쪽한가 아닌가를 가늠하는 쳑도가 첨도입니다. '3'보다 크면 정규분포보다 더 뾰족한 모양이고, '3'보다 작으면 정규분포보다 덜 뾰족한 모양이라고 해석하면 되겠습니다. (패키지에 따라서는 '3'을 빼서 '0'으로 표준화해서 값을 제시하기도 합니다)

 

 

-- 기타 함수 --

 

(12) 합 : sum(x)

 

> sum(x)
[1] 55
> sum(y)
[1] 45

 

 

(13) n차 차분 : diff(x, lag=n)

 

> diff(x, lag=1)
[1] 1 1 1 1 1 1 1 1 1
> diff(x, lag=2)
[1] 2 2 2 2 2 2 2 2
> diff(x, lag=3)
[1] 3 3 3 3 3 3 3 

 

관측값에서 직전 관측값을 뺀 차분을 구하는 함수입니다. 시계열분석할 때 정상화하기 위해서 차분을 이용하는데요, 시차(lag)를 분석 목적에 따라 또 데이터 특성에 따라서 입력해주면 됩니다. 디폴트는 lag=1 이 되겠습니다.

 

 

(14) 길이, 관측값 개수 : length()

 

> # 벡터에 length() 사용 시
> length(x)
[1] 10
> length(y)
[1] 9 
> 

> # 데이터 프레임에 length()사용 시

> length(mtcars)
[1] 11
> 

> # 데이터 프레임의 특정 변수에 length($) 사용 시

> length(mtcars$mpg)
[1] 32

 

벡터에서 length()는 관측값 개수를 계산해서 보여줍니다.

데이터 프레임에서는 column 개수를 나타내주고요, 데이터 프레임의 특정 변수를 지정하면 그 특정 변수의 관측값의 개수를 세서 보여줍니다.

 

 

(15) 순위 : rank()

 

> rank(x) [1] 1 2 3 4 5 6 7 8 9 10 >
>
rank(-x) [1] 10 9 8 7 6 5 4 3 2 1 >

> mtcars$mpg
 [1] 21.0 21.0 22.8 21.4 18.7 18.1 14.3 24.4 22.8 19.2 17.8 16.4 17.3 15.2 10.4 10.4 14.7 32.4 30.4 33.9 21.5 15.5
[23] 15.2 13.3 19.2 27.3 26.0 30.4 15.8 19.7 15.0 21.4

>

> rank(mtcars$mpg, 
+      na.last = TRUE, 
+      ties.method = c("max"))
 [1] 20 20 25 22 15 14  4 26 25 17 13 11 12  8  2  2  5 31 30 32 23  9  8  3 17 28 27 30 10 18  6 22

 

> ##----------------------- > ## rank() {base package} > ##----------------------- > > # if there are no ties(i.e., equal values), no problem at all > x <- c(1, 5, 9, 7) > rank(x) [1] 1 2 4 3 > > > # if there are ties, ties can be handled in several ways > y <- c(1, 1, 1, 5, 9, 7) > > # returns average, default setting > rank(y) [1] 2 2 2 4 6 5 > rank(y, ties.method = c("average")) [1] 2 2 2 4 6 5 > > # first occurrence wins > rank(y, ties.method = c("first")) [1] 1 2 3 4 6 5 > > # ties broken at random > rank(y, ties.method = c("random")) [1] 3 2 1 4 6 5 > > rank(y, ties.method = c("random")) # ...random one more time [1] 1 3 2 4 6 5 > > rank(y, ties.method = c("random")) # ...random...again [1] 1 2 3 4 6 5 > > # rank by max value as used classically > rank(y, ties.method = c("max")) [1] 3 3 3 4 6 5 > > # rank by min value as in Sports > rank(y, ties.method = c("min")) [1] 1 1 1 4 6 5

 

rank는 순위대로 정렬해주는게 아니라 순위의 색인을 나타내줍니다.

디폴트는 작은 값부터 1을 부여해주고, 큰 것 부터 1을 부여하려면 '-'를 붙여주면 됩니다.

 

동일한 값(Ties, i.e, equal values)이 있을 경우 rank() 함수는 "average" (default), "first", "random", "max", "min" 등의 옵션을 제공합니다.

 

이번 포스팅이 도움이 되었다면 아래의 '공감 ~♡' 단추를 꾸욱 눌러주세요.

 

728x90
반응형
Posted by Rfriend
,

R 은 숫자형 벡터를 처리할 수 있는 편리한 함수를 다수 제공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절대값 계산, 제곱근 계산, x 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지붕), x 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바닥), 소수점 이하는 잘라서 버리거나 반올림 하기, 로그 변환, 지수 변환, 팩토리얼 등의 벡터 처림 함수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문자형 벡터 처리 함수는 나중에 별도로 기회를 봐서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R 숫자형 벡터 처리 함수 

 

 

1) 절대값 계산 : abs(x)

 

> abs(10)
[1] 10
> abs(-10)
[1] 10

 

 

2) 제곱근 계산 : sqrt(x)

 

> sqrt(16) [1] 4 > sqrt(-16) # 허수는 NaN [1] NaN Warning message: In sqrt(-16) : NaNs produced

 

 

3) x 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 (지붕 정수) : ceiling(x)

 

> ceiling(5.88)
[1] 6
> ceiling(6.00)
[1] 6

 

 

4) x 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 (바닥 정수) : floor(x)

 

> floor(5.88)
[1] 5
> floor(5.00)
[1] 5

 

 

5) x 소숫점 이하는 잘라서 버림 : trunc(x)

 

> trunc(5.88)
[1] 5
> trunc(5.10)
[1] 5

 

 

6) x 를 소수점 n자리로 반올림 : round(x, digits=n)

 

> round(5.88, digits = 1)
[1] 5.9
> round(5.88, digits = 0)
[1] 6
> round(5.10, digits = 0)
[1] 5

 

 

7) x 를 밑이 n인 log 취하기 : log(x, base=n)

 

> log(10, base=2) # 밑이 2인 로그 [1] 3.321928 >

> log(10, base = exp(1)) # 자연로그 [1] 2.302585 >

> log(10) # 자연로그, base = exp(1) 을 생략해도 동일함 [1] 2.302585 >

> log(10, base=10) # 밑이 10인 상용로그 [1] 1 >

> log10(10) # 상용로그의 다른 표현법 [1] 1 

 

 

8) x 를 지수변환하기 : exp(x)

 

> exp(log(10, base=exp(1)))
[1] 10
> exp(1)
[1] 2.718282
> exp(10)
[1] 22026.47 

 

 

9) x factorial : factorial(x)

 

> factorial(2)
[1] 2
> factorial(3)
[1] 6
> factorial(4)
[1] 24
> factorial(5)
[1] 120 

 

 

이번 포스팅이 도움이 되었다면 아래의 '공감 ~♡' 단추를 꾸욱 눌러주세요.^^

 

728x90
반응형
Posted by Rfriend
,

R에서 데이터를 입력할 때 c() 를 사용하는데요, 일정한 반복이나 규칙을 따르는 데이터 입력이라면 함수 명령문을 이용하는게 단순 업무를 줄이는 방법이 되겠지요.

 

예전에 R의 장점이자 강점 중의 하나가 벡터 연산이 파워풀하다는 점이라고 했는데요,

 

아래의 rep(), seq() 함수를 곁들여서 벡터 연산에 활용하면 좋겠지요?!

 

 

 

 rep(), seq() 반복 데이터, 일정한 구조/순차 데이터 생성

 

 

(1) rep() : 일정한 데이터 반복

 

반복하고자 하는 4가지 형태별로 아래 예시를 들었습니다.

 


> ## "a"를 10번 반복

> rep("a", times = 10) [1] "a" "a" "a" "a" "a" "a" "a" "a" "a" "a" >

> ## "1"을 15번 반복

> rep(1, times = 15)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 1 은 숫자형 그대로 임 >

> ## ("a" & "1") 을 5번 반복

> rep( c("a", 1), 5) [1] "a" "1" "a" "1" "a" "1" "a" "1" "a" "1" # "1"이 숫자형이 아니라 문자형으로 변환됨 >

> ## "a"를 먼저 5번 반복하고, "1"을 10번 반복

> rep( c("a", 1), c(5,10))
 [1] "a" "a" "a" "a" "a" "1" "1" "1" "1" "1" "1" "1" "1" "1" "1"

 

 




특정 범위의 정수 숫자를 각각 동일한 횟수로 반복하고자 한다면 rep(x:y, each=z) 함수를 사용하면 편합니다.

1~3까지의 정수를 10번씩 반복하는 예제는 아래와 같습니다.



> # repeat 1 at 10 times, 2 at 10 times, 3 at 10 times
> rep(1:3, each=10)
 [1] 1 1 1 1 1 1 1 1 1 1 2 2 2 2 2 2 2 2 2 2 3 3 3 3 3 3 3 3 3 3

 




1행부터 20행까지 있는 데이터 프레임에서 1부터 5까지의 반복하는 숫자를 행 기준으로 반복하는 예제는 아래와 같습니다. dataframe$var <- rep(c(1:5), len = ncol(dataframe)) 처럼 할당하는 방법도 있고, cbind()를 사용하는 방법도 있는데요, 2가지 방법 모두 아래에 소개하였습니다. 진동, 주파수 처럼 일정한 주기성을 띠는 데이터를 분석하는 경우 분석 단위/구간 지정을 위해서 은근히 많이 사용하는 데이터 전처리 방법입니다.



> ## rep() exmaple
> x <- c(1:20)
> y <- rep(1, times = 20)
> z <- rep(c(1, 2), c(10, 10))
> xyz <- data.frame(cbind(x, y, z))
> xyz
    x y z
1   1 1 1
2   2 1 1
3   3 1 1
4   4 1 1
5   5 1 1
6   6 1 1
7   7 1 1
8   8 1 1
9   9 1 1
10 10 1 1
11 11 1 2
12 12 1 2
13 13 1 2
14 14 1 2
15 15 1 2
16 16 1 2
17 17 1 2
18 18 1 2
19 19 1 2
20 20 1 2
> 
> ## repeating c(a:b) from first row until last row : way 1
> xyz$seq_no_1 <- rep(c(1:5), len = nrow(xyz))
> xyz
    x y z seq_no_1
1   1 1 1        1
2   2 1 1        2
3   3 1 1        3
4   4 1 1        4
5   5 1 1        5
6   6 1 1        1
7   7 1 1        2
8   8 1 1        3
9   9 1 1        4
10 10 1 1        5
11 11 1 2        1
12 12 1 2        2
13 13 1 2        3
14 14 1 2        4
15 15 1 2        5
16 16 1 2        1
17 17 1 2        2
18 18 1 2        3
19 19 1 2        4
20 20 1 2        5
> 
> ## repeating c(a:b) from first row until last row : way 2
> seq_no_2 <- rep(c(1:5), len = nrow(xyz))
> xyz <- cbind(xyz, seq_no_2)
> xyz
    x y z seq_no_1 seq_no_2
1   1 1 1        1        1
2   2 1 1        2        2
3   3 1 1        3        3
4   4 1 1        4        4
5   5 1 1        5        5
6   6 1 1        1        1
7   7 1 1        2        2
8   8 1 1        3        3
9   9 1 1        4        4
10 10 1 1        5        5
11 11 1 2        1        1
12 12 1 2        2        2
13 13 1 2        3        3
14 14 1 2        4        4
15 15 1 2        5        5
16 16 1 2        1        1
17 17 1 2        2        2
18 18 1 2        3        3
19 19 1 2        4        4
20 20 1 2        5        5

 

 



(2) seq() : 일정한 구조/순차 데이터 생성

 

 아래 예시를 참고하세요.

 

 

> ## c()를 이용한 1부터 10까지 입력 (1 단위씩 커짐)
> c(1:10)
 [1]  1  2  3  4  5  6  7  8  9 10
> 
> ## seq()를 이용한 1부터 10까지 입력 (1 단위씩 커짐)
> seq(from=1, to=10)
 [1]  1  2  3  4  5  6  7  8  9 10
> 
> ## seq_len()을 이용한 1부터 10까지 입력 (1 단위씩 커짐)
> seq_len(10)
 [1]  1  2  3  4  5  6  7  8  9 10
> 
> ## seq()를 이용한 1~10까지의 숫자를 2단위씩 증가시키면서 입력
> seq( from = 1, to = 10, by=2 )  # from, to 는 제외해도 괜찮음
[1] 1 3 5 7 9
> 
> ## seq()를 이용한 1~10까지의 수를 5개의 숫자로 등간격으로 구성 (숫자는 5개, 구간은 4개)
> seq( 1, 10, length = 5 )  # from, to 는 제외해도 괜찮음
[1]  1.00  3.25  5.50  7.75 10.00
> 
# length.out : 개수 지정
> seq(from = 1, by = 2, length.out = 10)
 [1]  1  3  5  7  9 11 13 15 17 19

 

 

 

 

많은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이번 포스팅이 도움이 되었다면 아래의 '공감 ~♡' 단추를 꾸욱 눌러주세요.^^

 

728x90
반응형
Posted by Rfriend
,

엑셀에서 외부 텍스트 데이터를 불러올 때 (1) ',', ':', ' ' 등의 구분자로 column을 구분하는 방식이 있고, (2) 일정한 간격, 고정된 폭으로 되어 있어서 대화상자에서 구분하는 폭/선을 마우스로 지정해주는 방식이 있습니다.

 

R에서 (1) 구분자가 들어있는 외부 텍스트 파일 불러오기는 지난번 포스팅에서 read.table(), read.csv() 함수를 소개했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2) 고정된 폭의 외부 텍스트 파일을 불러오는 함수 read.fwf() 함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read.fwf() : 일정한 간격, 고정된 폭 구조의 외부데이터 불러오기

 

fwf 는 fixed width file 의 약자입니다.

아래 예제를 보면서 따라해보면 금방 사용법 알 수 있을 거예요.

 

 아래 형태처럼 1~2자리, 3~5자리, 6~8자리로 일정한 간격으로 되어있는 데이터를 불어와보도록 하겠습니다.


data_fwf.txt


 

 

read.fwf("디렉토리 경로",

       widths = c(간격 설정),

        col.names = c(변수명 설정))

 

> # fwf() 함수로 일정한 간격 외부 텍스트 데이터 불러오기

> data_fwf <- read.fwf("C:/Users/user/Documents/R/data_fwf.txt", # 경로 '/' 주의 + widths = c(2,3,3), + col.names = c("Var_1", "Var_2", "Var_3"))

 

 

불러온 데이터를 확인해 보면, col.names에서 할당한 변수명대로 해서 일정한 간격으로 구분되어 데이터가 들어가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 data_fwf
  Var_1 Var_2 Var_3
1    11   aaa   222
2    33   bbb   444
3    55   ccc   666

 

구분자를 안쓰는 경우 자칫 중간에 데이터가 꼬일 수 있으므로 read.fwf() 함수는 조심해서 써야 합니다. 기계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흐트러짐 없이 쏟아져나오는 센서 데이터와 같이 일정한 간격, 고정된 구조의 데이터라고 확신이 있을 때만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이번 포스팅이 도움이 되었다면 아래의 '공감 ~♡' 단추를 꾸욱 눌러주세요.^^

 

728x90
반응형
Posted by Rfriend
,
 

지난번 포스팅에서 데이터 프레임을 편리하게 사용할 때 사용할 수 있는 attach(), detach() 를 살펴보았습니다.

 

이번에는 주의할 점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attach(), detach()가 편리한 기능이기는 합니다만, 아래의 3가지 경우 처럼 주의해서 사용하지 않으면 R 초보자의 경우 에러가 왜, 어디서 나는지 몰라서 애를 먹고, 심한 경우 R에 대해 '배우기 어려운 언어'라는 인식을 가지게 할 수 있는 함정이 바로 오늘 포스팅하는 내용이 되겠습니다. 

 

R 프로그래밍 하시는 분들, attach(), detach() 자주 쓰시는 분들은 반드시 숙지하시고 실수 하지 않기 위해, 혹은 실수 했더라도 콘솔에 나온 오류 메시지를 읽고서 뭐를 잘못했고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를 알기 위해서 금번 포스팅을 읽어보시면 도움일 될거라 믿습니다.



 attach(), detach() 사용 시 주의할 점


(1) attach()후에 작업 공간 내 같은 이름, 다른 길이의 객체가 있으면 충돌(중복)
: 다음에 오류xy.coords(x, y, xlabel, ylabel, log) : 'x' and 'y' lengths differ

 

R에 내장되어 있는 'mtcars' 데이터 프레임을 가져다가 실습을 해보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 ## attach(), detach() 사용할 때 주의할 점
> 
> str(mtcars) # mtcars 데이터 구조 확인
'data.frame':	32 obs. of  11 variables:
 $ mpg : num  21 21 22.8 21.4 18.7 18.1 14.3 24.4 22.8 19.2 ...
 $ cyl : num  6 6 4 6 8 6 8 4 4 6 ...
 $ disp: num  160 160 108 258 360 ...
 $ hp  : num  110 110 93 110 175 105 245 62 95 123 ...
 $ drat: num  3.9 3.9 3.85 3.08 3.15 2.76 3.21 3.69 3.92 3.92 ...
 $ wt  : num  2.62 2.88 2.32 3.21 3.44 ...
 $ qsec: num  16.5 17 18.6 19.4 17 ...
 $ vs  : num  0 0 1 1 0 1 0 1 1 1 ...
 $ am  : num  1 1 1 0 0 0 0 0 0 0 ...
 $ gear: num  4 4 4 3 3 3 3 4 4 4 ...
 $ carb: num  4 4 1 1 2 1 4 2 2 4 ...
> head(mtcars) # 상위 6개 관측치 미리보기
                   mpg cyl disp  hp drat    wt  qsec vs am gear carb
Mazda RX4         21.0   6  160 110 3.90 2.620 16.46  0  1    4    4
Mazda RX4 Wag     21.0   6  160 110 3.90 2.875 17.02  0  1    4    4
Datsun 710        22.8   4  108  93 3.85 2.320 18.61  1  1    4    1
Hornet 4 Drive    21.4   6  258 110 3.08 3.215 19.44  1  0    3    1
Hornet Sportabout 18.7   8  360 175 3.15 3.440 17.02  0  0    3    2
Valiant           18.1   6  225 105 2.76 3.460 20.22  1  0    3    1

 

 

attach()로 특정 데이터 프레임을 활성화 시킨 후에, 그 데이터 프레임에 있는 변수명과 같은 이름으로 벡터를 신규 생성하게 되면 R은 나중에 신규로 생성한 벡터 변수를 가져다가 작업을 하게 됩니다.  즉, 기존의 데이터 프레임의 변수가 새로운 수치로 변환이 되는게 아니라, 신규로 별도의 벡터가 따로 생기게 되다 보니 R이 동명이인을 두고 어찌할 바를 모르게 되는 겁니다. 이때 관측치 객수가 서로 다르다면 아래 예처럼 관측치 길이가 다르다고 에러 메시지가 뜨겠지요?

 

> attach(mtcars) # mtcars 데이터 프레임 활성화
> plot(hp, mpg) # 마력(hp: house power), 연비(mpg: mileage per gas) plot 그리기 OK
 

> # 마력, 연비 산포도 생성 성공

 

 
 
> 

> # mpg 라는 동일한 이름의 벡터를 생성 후 동일하게 산포도 명령 실행하면?
>
mpg <- c(20.0, 21.0, 19.2, 18.4, 19.9) # 동일한 이름의 mpg 벡터 신규 생성 > plot(mpg, hp) # 마력(hp), 연비(mpg) plot 그리기 에러발생 Error in xy.coords(x, y, xlabel, ylabel, log) : 'x' and 'y' lengths differ > > detach(mtcars)


서로 다른 의미(대상)의 벡터라면 이름을 다르게 해서 신규 생성하는게 답입니다. 그런데, R 프로그램 길게 짜다보면 인간인지라 실수로 중복 이름 벡터를 생성할수도 있고 하니, 간단한 명령어 실행할 때 에러를 원천 차단하려면,

 

(방법1)  '$'로 데이터 프레임을 지정(할당)해주고 변수를 불러오면 됩니다. 

 

> # 방법 1: '$' 로 데이터 프레임을 지정(할당)
> plot(mtcars$mpg, mtcars$hp)

 

 

 

 

 

 

(방법 2) detach() 후에, rm()으로 충돌(중복)되는 동일 이름 벡터 삭제 후 attach(), detach() 함수 활용

 

> # 방법 2: rm()으로 충돌(중복)되는 동일 이름 벡터 삭제 후 attach() 함수 활용

> detach(mtcars) # 활성화

> rm(mpg)  # 신규로 생성했었던 mpg 벡터 삭제

> attach(mtcars)

> plot(mpg, hp) # 다시 산점도 그리면 ok

 

 

 

 

 

> detach(mtcars)  # 활성화 해제

 

 

데이터 프레임을 attach()로 활성화 했다가 다 썼으면 끝에 꼭 detach()로 활성화 해제 잊지 말아야 겠죠.

 

 

(2) attach()후에 작업 공간 내 같은 이름, 다른 길이의 객체가 있으면 충돌(중복)
: The following object(s) are masked _by_ '.GlobalEnv' :

 

저는 R 초보일 때 분석하다 보면 이런 에러 메시지 많이 당했었고, 그때마다 이게 무슨 의미인지 몰라서 당황했었습니다. 아래 예제를 보면서 어떠할 때 이런 에러가 뜨는지 알아보겠습니다.

 

> # mtcars도 있는 동일한 이름의 hp 벡터 신규 생성 > hp <- c(120, 160, 110, 220)

 

# 우측 상단의 Global Environment 창에 hp 라는 벡터가 새로 생겼음을 확인할 수 있음

 

 

 

이런 상태에서 attach(mtcars)로 활성화(메모리에 임시로 데이터를 올리게 되면)를 하게 되면 mtcars 데이터 프레임에도 hp 라는 변수가 이미 들어있기 때문에 충돌이 나는 것입니다.

 

> attach(mtcars)
The following object is masked _by_ .GlobalEnv:

    hp

The following objects are masked from mtcars (pos = 3):

    am, carb, cyl, disp, drat, gear, hp, mpg, qsec, vs, wt
 
 
 

> hp # mtcars 데이터 프레임의 hp가 아니라 새로 생성한 벡터 hp가 호출됨 [1] 120 160 110 220

> > mtcars$hp # mtcars()$hp라고 해야지 mtcars 데이터 프레임 내 hp 벡터를 호출해옴 [1] 110 110 93 110 175 105 245 62 95 123 123 180 180 180 205 215 230 66 52 65 97 150 150 245 175 66 91 [28] 113 264 175 335 109

>

 

> rm(hp) # rm()으로 삭제한 이후에야 mtcars 데이터 프레임 내 hp를 호출하게 됨 > hp [1] 110 110 93 110 175 105 245 62 95 123 123 180 180 180 205 215 230 66 52 65 97 150 150 245 175 66 91 [28] 113 264 175 335 109


 이럴때는 rm()으로 중복되는 벡터를 삭제해주면 됩니다.

만약 생략해야 할 벡터가 많아서 일일이 rm() 명령어 치기가 귀찮다면 RStudio의 우측 상단에 붓 모양의 아이콘 클릭하면 전부 지워집니다. 전부 지워지니깐 조심해야 겠지만, 만약 전부 지워도 되는 거라면, 자꾸 에러가 나는데 뭐가 뭔지 잘 모르겠고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고 싶다면 RStudio 우측 상단 붓 모양 아이콘으로 깔끔히 정리하고 R Script 짜놓은거 위에서 부터 순서대로 다시 해보면 실행 성공하는 경우 있습니다.

 

 

 

(3) attach()로 데이터 프레임을 메모리로 호출한 이후에 원본 데이터 프레임을 변경한 경우

 

attach()로 활성화 시켜서 메모리에 데이터가 올라온 상태에서 '$'로 혹은 transform() 함수로 데이터 객체를 변경하였다면 detach() 로 활성화를 해제시켰다가 다시 attach()로 활성화 시켜서 사용할 것.

> # cust_id, last_nm, age 세개의 벡터 생성
> cust_id <- c(1, 2, 3)
> last_nm <- c("Kim", "Lee", "Park")
> age <- c(20, 25, 29)
>

> # profile 이라는 데이터 프레임으로 cust_id, last_nm, age 세개 벡터 묶기 > profile <- data.frame(cust_id, last_nm, age) > profile cust_id last_nm age 1 1 Kim 20 2 2 Lee 25 3 3 Park 29

>

> # The following objects are masked _by_ .GlobalEnv: 안뜨게 하려면 삭제

> rm(cust_id, last_nm, age)  
>

>

> # attach()로 활성화

> attach(profile)

> age [1] 20 25 29 >

> # '$'로 profile 데이터 프레임을 지정하여 age 변수에 새로운 값 할당 (날씨 10살씩 더한 값)

> profile$age <- c(30, 35, 39) > profile # 새로운 age 값이 뜸 (원본 데이터는 변경되었음!!!!) cust_id last_nm age 1 1 Kim 30 2 2 Lee 35 3 3 Park 39

 

 

>

> # 그런데 attach()로 메모리에 불려들였던 'age'는 변하지 않은 이전 값임(주의 요망!!!!!)

> age [1] 20 25 29 >

> # 원본 데이터(변경 후)와 attach()로 메모리에 상주된 동일 변수 데이터가 값이 다르므로 주의요망

> # 해결 방법은 detach()로 메모리 상주(활성화) 해제 하고 attach()로 새로 활성화 시키면 됨

> detach(profile) > attach(profile) > age # 새로 변경한 값이 뜸 [1] 30 35 39 > detach(profile)

 

 

 

이번 포스팅 내용은 좀 어려울 것 같습니다. 저게 무슨 소리인가, 말인가 막걸리인가...그게 그 소리 같고... 헷갈리는 내용이지만 attach(), detach()는 아마 자주 사용하는 함수일터이니 제대로 알고 사용해야 에러를 피해갈 수 있겠지요?!

 

이번 포스팅이 도움이 되었다면 아래의 '공감 ~♡' 단추를 꾸욱 눌러주세요.^^

 

728x90
반응형
Posted by Rfriend
,

 

R 데이터 프레임 구조는 분석에 가장 많이 사용하는 구조의 데이터 셋입니다.

 

데이터 프레임의 변수를 활용하는 방법 3가지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R 데이터 프레임 활성화: with(), attach() & detach()

 

(1) 데이터 프레임 이름$변수명 : 입력할 거리가 몇 개 안되는 경우 적합

 

> ## 데이터 프레임 이름을 지정하지 않으면 R은 어디에서 변수를 가져와야 할지 알지 못함. 에러 발생

> mean(mpg) Error in mean(mpg) : object 'mpg' not found
>
> ## '데이터 프레임 이름$변수명' 형식으로 '$'를 이용해 객체 지정해주어야 R이 이해를 함
> mean(mtcars$mpg) [1] 20.09062 

>
> ## '0-1' 변환 해보기

> tf_0_1 <- (max(mtcars$mpg) - mtcars$mpg) / (max(mtcars$mpg) - min(mtcars$mpg)) > tf_0_1 [1] 0.54893617 0.54893617 0.47234043 0.53191489 0.64680851 0.67234043 0.83404255 0.40425532 [9] 0.47234043 0.62553191 0.68510638 0.74468085 0.70638298 0.79574468 1.00000000 1.00000000 [17] 0.81702128 0.06382979 0.14893617 0.00000000 0.52765957 0.78297872 0.79574468 0.87659574 [25] 0.62553191 0.28085106 0.33617021 0.14893617 0.77021277 0.60425532 0.80425532 0.53191489

* mtcars 는 R base 패키지에 내장된 데이터 프레임으로서, 자동차 32개 브랜드에 대해 11변수 값 조사해 놓은 자료.

str(mtcars) 해보면 데이터 구조, 변수명, 변수 개수, 관찰치 개수, 변수별 상위 데이터셋 미리보기 가능.

 

 

(2) with(데이터 프레임 이름, R 명령문) : R 명령문이 한 줄인 경우에만 사용 가능

 

위의 '$'는 R 명령어를 입력할 때마다 매번 '데이터 프레임 이름$변수명' 처럼 데이터 프레임 이름을 입력해주어야 하므로, 입력해야할 R 명령문이 많아지만 꽤 번거로운 방법이라고 하겠습니다. 모르면 손.발이 고생한다는 말이 딱 맞겠지요.

 

이럴 경우 손.발의 고생을 덜어주기에 유용한 함수가 with() 입니다. 위의 '0-1 변환'을 with()함수를 써서 해보겠습니다.

 

> tf_0_1_2 <- with(mtcars, (max(mpg) - mpg) / (max(mpg) - min(mpg)) )
> tf_0_1_2
 [1] 0.54893617 0.54893617 0.47234043 0.53191489 0.64680851 0.67234043 0.83404255 0.40425532
 [9] 0.47234043 0.62553191 0.68510638 0.74468085 0.70638298 0.79574468 1.00000000 1.00000000
[17] 0.81702128 0.06382979 0.14893617 0.00000000 0.52765957 0.78297872 0.79574468 0.87659574
[25] 0.62553191 0.28085106 0.33617021 0.14893617 0.77021277 0.60425532 0.80425532 0.53191489 

 

(1)번의 '$'를 사용한 노가다보다는 with()함수를 쓰니 훨씬 간결해지고 손도 덜 가지요?

다만, with()함수는 한 줄의 명령어만 가능하다보니 동일 데이터 프레임에 대해서 다수의 R 명령어를 써야 하는 상황이라면 attach(), detach() 함수를 사용해야 합니다.

 

 

(3) 활성화 시작 attach(데이터 프레임 이름), 끝 detach(데이터 프레임 이름): 다수의 R 명령문 입력 시 적합

 

공통적으로 계속 사용되는 대상 데이터 프레임을 지정(활성화 한다고 함)할 때는 attach(), 다른 데이터 프레임으로 바꾸고자 기존의 지정(활성화)된 데이터 프레임을 해제하고자 할때는 detach() 함수를 사용합니다.

 

> ## 데이터 프레임 활성화 attach()

> attach(mtcars) > tf_0_1_3 <- (max(mpg) - mpg) / (max(mpg) - min(mpg)) > tf_0_1_3 [1] 0.54893617 0.54893617 0.47234043 0.53191489 0.64680851 0.67234043 0.83404255 0.40425532 [9] 0.47234043 0.62553191 0.68510638 0.74468085 0.70638298 0.79574468 1.00000000 1.00000000 [17] 0.81702128 0.06382979 0.14893617 0.00000000 0.52765957 0.78297872 0.79574468 0.87659574 [25] 0.62553191 0.28085106 0.33617021 0.14893617 0.77021277 0.60425532 0.80425532 0.53191489 > > hist(mpg)

 

> summary(mpg) Min. 1st Qu. Median Mean 3rd Qu. Max. 10.40 15.42 19.20 20.09 22.80 33.90 >

> ## 데이터 프레임 활성화 해제 : detach() > detach(mtcars)

 

attach(데이터 프레임 이름 mtcars) 이후에 변수 변환도 하고, 히스토그램 그래프도 그리고, summary() 함수로 연비(mpg: mileage per gasolin)의 요약통계량을(최소값, Q1, 중앙값, 평균, Q3, 최대값) 구하는데 있어서 공통적으로 'mtcars' 데이터 프레임을 대상으로 해서 변수를 가져다가 R 함수가 실행되었습니다.

 

만약 '$'문을 사용했더라면 매번 데이터 프레임 이름을 계속 명기해주어야 하므로 노가다 좀 했겠지요? ^^

 

attach() 함수를 사용할 때 주의할 점이 있는데요, 그건 다음번 포스팅에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이번 포스팅이 도움이 되었다면 아래의 '공감 ~♡' 단추를 꾸욱 눌러주세요.^^

 

728x90
반응형
Posted by Rfriend
,

 

R 데이터 객체를 신규로 생성했거나, 외부에서 불러왔거나, 아니면 R 패키지에 내장되어 있는 데이터 셋을 활용한다고 했을 때 데이터 객체의 현황, 특성에 대해서 파악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에 유용한 함수들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R 데이터 객체 탐색을 위한 함수 

 

R에 기본으로 내장되어 있는 'mtcars' 라는 데이터 프레임을 가지고 아래의 각 함수들의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mtcars' 데이터는 1974 Motor Trend US magazine에서 자동차 디자인과 성능에 관해 추출한 11개의 변수로 구성된 데이터 프레임입니다.

 

> mtcars
                     mpg cyl  disp  hp drat    wt  qsec vs am gear carb
Mazda RX4           21.0   6 160.0 110 3.90 2.620 16.46  0  1    4    4
Mazda RX4 Wag       21.0   6 160.0 110 3.90 2.875 17.02  0  1    4    4
Datsun 710          22.8   4 108.0  93 3.85 2.320 18.61  1  1    4    1
Hornet 4 Drive      21.4   6 258.0 110 3.08 3.215 19.44  1  0    3    1
Hornet Sportabout   18.7   8 360.0 175 3.15 3.440 17.02  0  0    3    2
Valiant             18.1   6 225.0 105 2.76 3.460 20.22  1  0    3    1
Duster 360          14.3   8 360.0 245 3.21 3.570 15.84  0  0    3    4
Merc 240D           24.4   4 146.7  62 3.69 3.190 20.00  1  0    4    2
Merc 230            22.8   4 140.8  95 3.92 3.150 22.90  1  0    4    2
Merc 280            19.2   6 167.6 123 3.92 3.440 18.30  1  0    4    4
Merc 280C           17.8   6 167.6 123 3.92 3.440 18.90  1  0    4    4
Merc 450SE          16.4   8 275.8 180 3.07 4.070 17.40  0  0    3    3
Merc 450SL          17.3   8 275.8 180 3.07 3.730 17.60  0  0    3    3
Merc 450SLC         15.2   8 275.8 180 3.07 3.780 18.00  0  0    3    3
Cadillac Fleetwood  10.4   8 472.0 205 2.93 5.250 17.98  0  0    3    4
Lincoln Continental 10.4   8 460.0 215 3.00 5.424 17.82  0  0    3    4
Chrysler Imperial   14.7   8 440.0 230 3.23 5.345 17.42  0  0    3    4
Fiat 128            32.4   4  78.7  66 4.08 2.200 19.47  1  1    4    1
Honda Civic         30.4   4  75.7  52 4.93 1.615 18.52  1  1    4    2
Toyota Corolla      33.9   4  71.1  65 4.22 1.835 19.90  1  1    4    1
Toyota Corona       21.5   4 120.1  97 3.70 2.465 20.01  1  0    3    1
Dodge Challenger    15.5   8 318.0 150 2.76 3.520 16.87  0  0    3    2
AMC Javelin         15.2   8 304.0 150 3.15 3.435 17.30  0  0    3    2
Camaro Z28          13.3   8 350.0 245 3.73 3.840 15.41  0  0    3    4
Pontiac Firebird    19.2   8 400.0 175 3.08 3.845 17.05  0  0    3    2
Fiat X1-9           27.3   4  79.0  66 4.08 1.935 18.90  1  1    4    1
Porsche 914-2       26.0   4 120.3  91 4.43 2.140 16.70  0  1    5    2
Lotus Europa        30.4   4  95.1 113 3.77 1.513 16.90  1  1    5    2
Ford Pantera L      15.8   8 351.0 264 4.22 3.170 14.50  0  1    5    4
Ferrari Dino        19.7   6 145.0 175 3.62 2.770 15.50  0  1    5    6
Maserati Bora       15.0   8 301.0 335 3.54 3.570 14.60  0  1    5    8
Volvo 142E          21.4   4 121.0 109 4.11 2.780 18.60  1  1    4    2 

 

'mrcars' 라고 콘솔창에 치면 위의 박스 상자에 있는 것처럼 데이터 보기가 가능합니다. 이처럼 데이터 관찰치와 변수가 몇 개 안되면 콘솔창이나 아니면 environment 창에서 데이터셋을 눌러서 미리보기를 할 수 있겠읍니다만, 데이터 관찰치가 몇 백만이 되고 변수도 수천개가 넘는 데이터 객체라면 무리겠지요. 그래서 아래 함수들이 필요합니다.

 

 

(1) str(객체) : 데이터 구조, 변수 개수, 변수 명, 관찰치 개수, 관찰치의 미리보기

 

> str(mtcars)
'data.frame':	32 obs. of  11 variables:
 $ mpg : num  21 21 22.8 21.4 18.7 18.1 14.3 24.4 22.8 19.2 ...
 $ cyl : num  6 6 4 6 8 6 8 4 4 6 ...
 $ disp: num  160 160 108 258 360 ...
 $ hp  : num  110 110 93 110 175 105 245 62 95 123 ...
 $ drat: num  3.9 3.9 3.85 3.08 3.15 2.76 3.21 3.69 3.92 3.92 ...
 $ wt  : num  2.62 2.88 2.32 3.21 3.44 ...
 $ qsec: num  16.5 17 18.6 19.4 17 ...
 $ vs  : num  0 0 1 1 0 1 0 1 1 1 ...
 $ am  : num  1 1 1 0 0 0 0 0 0 0 ...
 $ gear: num  4 4 4 3 3 3 3 4 4 4 ...
 $ carb: num  4 4 1 1 2 1 4 2 2 4 ... 

 

mtcars 가 '32개의 관측치', '11개의 변수'로 되어있는 '데이터 프레임'이고, 각 변수명과 변수들의 유형, 그리고 상위 10개의 관측치가 미리보기 형식으로 제시됩니다. 데이터 셋 탐색을 위해 제일 처음 해보면 좋을 유용한 함수입니다.

 

 

(2) head(), tail() : 상위 6개, 하위 6개 관측치 미리보기

 

> head(mtcars)
                   mpg cyl disp  hp drat    wt  qsec vs am gear carb
Mazda RX4         21.0   6  160 110 3.90 2.620 16.46  0  1    4    4
Mazda RX4 Wag     21.0   6  160 110 3.90 2.875 17.02  0  1    4    4
Datsun 710        22.8   4  108  93 3.85 2.320 18.61  1  1    4    1
Hornet 4 Drive    21.4   6  258 110 3.08 3.215 19.44  1  0    3    1
Hornet Sportabout 18.7   8  360 175 3.15 3.440 17.02  0  0    3    2
Valiant           18.1   6  225 105 2.76 3.460 20.22  1  0    3    1


>
tail(mtcars) mpg cyl disp hp drat wt qsec vs am gear carb Porsche 914-2 26.0 4 120.3 91 4.43 2.140 16.7 0 1 5 2 Lotus Europa 30.4 4 95.1 113 3.77 1.513 16.9 1 1 5 2 Ford Pantera L 15.8 8 351.0 264 4.22 3.170 14.5 0 1 5 4 Ferrari Dino 19.7 6 145.0 175 3.62 2.770 15.5 0 1 5 6 Maserati Bora 15.0 8 301.0 335 3.54 3.570 14.6 0 1 5 8 Volvo 142E 21.4 4 121.0 109 4.11 2.780 18.6 1 1 4 2 

 

관측치가 수백만, 수천만 건인 경우는 상위 혹은 하위 몇개만 미리보기를 할 수 있으면 유용하겠지요.

 

 

(3) dim() : 데이터 객체의 차원

 

> dim(mtcars)
[1] 32 11 

 

str() 함수로 파악이 전부 가능한 정보인데요, 데이터 객체의 차원만 알고 싶거나 아니면 데이터 객체의 차원을 벡터로 해서 indexing해서 쓸일이 있을 때 이 함수를 사용하면 되겠지요.

 

 

(4) length() : 데이터 객체의 요소들의 개수

 

> length(mtcars) [1] 11

 

> length(mtcars$mpg)
[1] 32

 

첫번째 length(mtcars) 는 mtcars 데이터셋의 변수들의 개수를,

두번째 lenght(mtcars$mpg)는 mtcars의 데이터셋의 mpg라는 변수의 관측치의 개수를 나타냅니다.

(length()를 벡터에 사용하면 관측치의 개수를 나타냄)

목적에 맞게 골라서 사용하면 되겠습니다.

 

 

(5) names() : 데이터 객체 구성요소 이름

 

> names(mtcars)
 [1] "mpg"  "cyl"  "disp" "hp"   "drat" "wt"   "qsec" "vs"   "am"   "gear" "carb"

 

데이터 객체의 변수명을 알고 싶고, indexing해서 사용하고 싶으면 names() 함수를 사용하면 되겠습니다.

 

 

(6) class() : 데이터 객체 구성요소의 속성

 

> class(mtcars)
[1] "data.frame"
> sapply(mtcars, class)
      mpg       cyl      disp        hp      drat        wt      qsec        vs        am 
"numeric" "numeric" "numeric" "numeric" "numeric" "numeric" "numeric" "numeric" "numeric" 
     gear      carb 
"numeric" "numeric" 

 

첫번째의 class(mtcars)는 데이터 객체가 '데이터 프레임'임을 나타내고 있으며,

두번째 sapply(mtcars, class)는 'mtcars'라는 데이터 프레임의 모든 변수에다가 'class()라는 함수를 적용해라(sapply)고 했을 때의 결과로서, 11개의 각 변수별로 속성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참고로, sapply()는 동일한 함수를 모두 적용하라는 함수입니다. 여기서는 class()라는 함수를 mtcars 내의 모든 변수에 공통으로 적용하라는 뜻입니다)

이 또한 목적에 맞게 골라서 사용하면 되겠습니다.

 

이번 포스팅이 도움이 되었다면 아래의 '공감 ~♡' 단추를 꾸욱 눌러주세요.^^

 

728x90
반응형
Posted by Rfriend
,

지난 포스팅에서

 

- R 데이터 객체를 외부 파일로 내보내서 저장하기 write.table()

 

- R 분석 결과를 외부 파일로 내보내서 저장하기 cat()

 

을 알아보았습니다.

 

 

 R 분석 결과 외부 파일로 저장하기 : capture.output()

 

이번 포스팅에서는 R 분석 결과 외부 파일로 저장하기 : capture.output()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분석 결과를 외부로 내보내서 저장하는 cat()과 caputre.output()의 차이점은 cat()이 벡터를 다룬다면 capture.output()은 리스트를 다룬다는 점입니다.

 

아래 함수가

누구를 

어떤 데이터 구조를

무슨 일을 하는가? 

 wriite.table()

 데이터 객체

 데이터 프레임

(data frame)

 텍스트 파일로 외부 저장

 cat()  분석 결과  벡터 (vector)

 텍스트 파일로 외부 저장 

 capture.output()

 분석 결과  리스트 (list)   텍스트 파일로 외부 저장

 

 

capture.output() 함수를 아래 실습을 따라하면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 ## 10명의 키, 몸무게로 데이터 프레임 만들기

> height <- c(175, 159, 166, 189, 171, 173, 179, 167, 182, 170)
> weight <- c(62, 55, 59, 75, 61, 64, 63, 65, 70, 60)
> d.f_h_w <- data.frame(height, weight)
> 

> ## 키와 몸무게 1차 선형 회귀모형 만들기

> lm_fit_h_w <- lm(weight ~ height, d.f_h_w)
> summary(lm_fit_h_w)
 

Call: lm(formula = weight ~ height, data = d.f_h_w) Residuals: Min 1Q Median 3Q Max -3.8614 -1.4780 -0.1812 1.1986 5.1787 Coefficients: Estimate Std. Error t value Pr(>|t|) (Intercept) -38.1534 18.2437 -2.091 0.069874 . height 0.5867 0.1053 5.573 0.000527 *** --- Signif. codes: 0 ‘***’ 0.001 ‘**’ 0.01 ‘*’ 0.05 ‘.’ 0.1 ‘ ’ 1 Residual standard error: 2.727 on 8 degrees of freedom Multiple R-squared: 0.7952, Adjusted R-squared: 0.7696 F-statistic: 31.06 on 1 and 8 DF, p-value: 0.0005268

 

위에 만든 (1) 데이터 프레임과 (2) 회귀모형 적합 결과 summary(lm_fit_h_w) 를 텍스트 파일로 저장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Dataset is as follows: " 문구 쓰고, lm_fit_h_w.txt 파일 생성

> cat( "Dataset is as follows; ",
+      "\n", 
+      "\n", 
+      file = "C:/Users/user/Documents/R/lm_fit_h_w.txt") 

 

 

 

  • lm_fit_h_w.txt 파일에 다가 lm_fit_h_w 데이터 프레임 데이터를 붙여서 저장하기 

> write.table(d.f_h_w, "C:/Users/user/Documents/R/lm_fit_h_w.txt", 
+             sep = ",", 
+             row.names = FALSE, 
+             quote = FALSE, 
+             append = TRUE)
Warning message:
In write.table(d.f_h_w, "C:/Users/user/Documents/R/lm_fit_h_w.txt",  :
  열의 이름들을 파일에 추가합니다 

 

 

 

  • "Summary of linear regression model is " 문구 삽입하기 

 

> cat( "Summary of linear regression model is ",
+      "\n", 
+      "\n", 
+      file = "C:/Users/user/Documents/R/lm_fit_h_w.txt", 
+      append = TRUE)

 

 

 

  • summary(lm_fit_h_w) 결과를 lm_fit_h_w.txt 파일에 붙여서 저장하기
    - cat() 함수를 쓰면 'list' 데이터 구조는 처리할 수 없다는 에러 메시지 발생

> cat( "\n", 
+      "\n", 
+      summary(lm_fit_h_w), 
+      file = "C:/Users/user/Documents/R/lm_fit_h_w.txt", 
+      append = TRUE)
Error in cat(list(...), file, sep, fill, labels, append) : 
  argument 3 (type 'list') cannot be handled by 'cat' 

 

 

               - 이때는 capture.output() 함수를 사용하면 됨

 

> capture.output(summary(lm_fit_h_w), 
+                file = "C:/Users/user/Documents/R/lm_fit_h_w.txt", 
+                append = TRUE) 

 

 

키와 몸무게의 1차 선형회귀모형의 summary() 결과가 텍스트 파일에 append 되어 저장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이 도움이 되었다면 아래의 '공감 ~♡' 단추를 꾸욱 눌러주세요.^^

 

728x90
반응형
Posted by Rfrien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