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포스팅에서는 R data.frame에서 여러개의 칼럼 이름을 '변경 전 칼럼 이름 : 변경 후 칼럼 이름'의 매핑 테이블 (old_column_name : new_column_name mapping table) 을 이용해서 한꺼번에 변경하는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 data.frame에 칼럼 개수가 엄청 많고, 특정 칼럼에 대해서 선별적으로 칼럼 이름을 변경하고 싶을 때 전:후 칼럼 이름 매핑 테이블을 사용하는 이번 포스팅의 방법을 사용하면 편리합니다.
다음으로, '변경 전 칼럼 이름 : 변경 후 칼럼 이름' 매핑 테이블을 만들어보겠습니다. 아래 예제에서는 변경 전 칼럼 이름 "X1"~"X10" 을 --> 변경 후 칼럼 이름 "var1"~"var10" 의 매핑 테이블 data.frame을 만들었습니다. (특정 칼럼만 선별적으로 변경하고 싶으면 해당 칼럼의 "변경 전 : 변경 후 매핑 테이블"을 만들면 됩니다.)
(1) dcast() 함수로 데이터셋 재구조화 시 문자열을 원소의 개수 (length) 로 집계
문자열 대상 집계일 때는 default 설정이 원소의 개수 (length) 이므로 위와 결과는 동일합니다만, 이번에는 경고 메시지가 안떴습니다.
##-- (1) counting the number of values as an aggregation function for string values
dcast(dt, x1 ~ x2,
fun.aggregate = length,
value.var = "x3")
# x1 1 2 3
# 1: g1 1 1 2
# 2: g2 1 2 1
(2) dcast() 함수로 데이터셋 재구조화 시 문자열을 콤마로 구분해서 붙여쓰기
dcast() 로 재구조화 시 하나의 셀 안에 여러개의 원소가 존재하게 될 경우, 이들 문자열 원소들을 콤마로 구분해서 옆으로 나란히 붙여서 집계하는 사용자 정의 함수를 fun.aggregate 매개변수란에 써주었습니다.
##-- (2) concatenation as an aggregation function for string values
dcast(dt, x1 ~ x2,
fun.aggregate = function(x) if (length(x)==1L) x else paste(x, collapse=","),
value.var = "x3")
# x1 1 2 3
# 1: g1 a b c,d
# 2: g2 e f,g h
(3) dcast() 함수로 데이터셋 재구조화 시 첫번째 문자열만 가져오기
dcast() 로 재구조화 시 하나의 셀 안에 여러개의 원소가 존재하게 될 경우, 이들 복수개의 원소들 중에서 첫번째 원소만 가져오는 사용자정의함수를 fun.aggregate 매개변수란에 작성해주었습니다.
##-- (3) keeping the first value as an aggregation function for string values
dcast(dt, x1 ~ x2,
fun.aggregate = function(x) if (length(x)==1L) x else x[1],
value.var = "x3")
# x1 1 2 3
# 1: g1 a b c
# 2: g2 e f h
주식을 하는 분들은 아마도 대표적인 시계열 데이터인 주가의 이동평균, 누적평균 그래프에 이미 익숙할 것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R의 zoo 패키지의 rollapply() 라는 window function 의
(1) Rolling Windows 를 사용해서 시계열 데이터의 이동 평균 구하기
(average of time series using rolling windows)
(2) Expanding Windows 를 사용해서 시계열 데이터의 누적 평균 구하기
(average of time series using expanding windows)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
[ 이동 평균 (average using Rolling Windows) vs. 누적 평균 (average using Expanding Windows) ]
시계열 데이터를 전처리하고 분석할 때 Window Function 을 자주 사용하는데요,
- Rolling Windows : 특정 window width (예: 10분, 1시간, 1일 등) 를 유지한채 측정 단위시간별로 이동하면서 분석
- Expanding Windows : 처음 시작 시점은 고정한 채, 시간이 흐름에 따라 신규로 포함되는 데이터까지 누적해서 분석
하는 차이가 있습니다. 바로 위에 Rolling Windows 와 Expanding Windows 를 도식화 해놓은 자료를 보면 금방 이해가 될거예요.
만약 시계열 데이터에 추세(trend) 나 계절성 (seasonality) 이 있다면 Rolling Windows 가 적당하며, 시계열 데이터에 추세나 계절성이 없이 안정적(stable) 이다면 Expanding Windows 를 사용해서 더 많은 데이터를 이용해서 요약 통계량을 계산하는게 유리할 수 있겠습니다.
시계열 예측 모델링할 때는 Rolling Windows 를 사용해서 모델 성능을 검증합니다.
R 의 zoo 패키지의 rollapply() 함수를 사용할 것이므로, zoo 패키지를 먼저 설치하고 임포팅합니다.
그리고 예제로 사용할 간단한 시계열 데이터를 만들어보겠습니다. 추세와 노이즈가 있는 시계열 데이터 입니다.
## ------------
## Wimdow functions in Time Series
## (1) Rolling window
## (2) Expanding window
## R zoo's rollapply(): https://www.rdocumentation.org/packages/zoo/versions/1.8-9/topics/rollapply
## ------------
install.packages("zoo")
library(zoo)
## generating a time series with trend and noise
set.seed(1) # for reproducibility
x <- rnorm(n=100, mean=0, sd=10) + 1:100
plot(x, type='l',
main="time series plot with trend and noise")
(1) Rolling Windows 를 사용해서 시계열 데이터의 이동 평균 구하기
(average of time series using rolling windows)
zoo 패키지의 rollapply() 함수에서
- width 매개변수는 'window width' 를 설정할 때 사용합니다.
- FUN 매개변수에는 원하는 함수를 지정해줄 수 있으므로 매우 강력하고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아래 예에서는 평균(mean)과 최대값(max) 을 계산하는 함수를 사용해보았습니다.
- align 은 데이터의 기준을 정렬할 때 왼쪽("left"), 중앙("centered", default 설정), 오른쪽("right") 중에서 지정할 수 있습니다. 이때 align="left"로 설정해주면 자칫 잘못하면 미래의 데이터를 가져다가 요약 통계량을 만드는 실수 (lookahead) 를 할 수도 있으므로, 만약 예측 모델링이 목적이라면 lookahead 를 하는건 아닌지 유의해야 합니다.
- partial=TRUE 로 설정하면 양쪽 끝부분에 window width 의 개수에 데이터 포인트 개수가 모자라더라도 있는 데이터만 가지고 부분적으로라도 함수의 통계량을 계산해줍니다.
## (1) Rolling Windows
## (1-1) moving average
f_avg_rolling_win <- rollapply(
data=zoo(x),
width=10, # window width
FUN=function(w) mean(w),
# 'align' specifies whether the index of the result should be left-aligned
# or right-aligned or centered (default)
# compared to the rolling window of observations.
align="right",
# If 'partial=TRUE', then the subset of indexes
# that are in range are passed to FUN.
partial=TRUE)
## (1-2) moving max
f_max_rolling_win <- rollapply(
zoo(x),
10,
function(w) max(w),
align="right",
partial=TRUE)
plot(x, col="gray", lwd=1, type="l", main="Average and Max using Rolling Window")
lines(f_avg_rolling_win, col="blue", lwd=2, lty="dotted")
lines(f_max_rolling_win, col="red", lwd=2, lty="dashed")
legend("topleft",
c("Average with Rolling Windows", "Max with Rolling Windows"),
col = c("blue", "red"),
lty = c("dotted", "dashed"))
(2) Expanding Windows 를 사용해서 시계열 데이터의 누적 평균 구하기
(average of time series using expanding windows)
R 에서 zoo 패키지의 rollapply() 함수로 Expanding Windwos 를 사용하려면 width = seq_along(x) 를 지정해주면 누적으로 함수를 계산해줍니다.
아래 예에서는 누적으로 평균과 최대값을 계산해서 시각화 한건데요, 우상향 하는 추세가 있는 시계열이다보니 누적으로 평균을 구하면 시계열 초반의 낮은 값들까지 모두 포함이 되어서 누적평균 값이 최근 값들을 제대로 따라가지 못하고 있습니다.
반면, 누적으로 최대값을 계산한 값은 중간에 소폭 값이 줄어들더라도 계산 시점까지 누적으로 최대값을 계산하므로, 항상 우상향하는 누적 최대값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레스터 객체에 대해 summary(raster_obj) 함수를 사용하면 레스터 객체의 픽셀 속성값에 대한 최소값(Minimum value), 1사분위수(1st Quantile), 중위값(Median), 3사분위수(3rd Quantile), 최대값(Maximum value), 결측값 개수(NA's) 에 대한 기술통계량(descriptive statistics)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summary() function for raster objects
summary(elev)
# layer
# Min. 1.00
# 1st Qu. 9.75
# Median 18.50
# 3rd Qu. 27.25
# Max. 36.00
# NA's 0.00
레스터 객체의 픽셀 속성값에 대해 cellStats(raster_obj, summary_function) 함수를 사용하여 평균(mean), 분산(variance),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 사분위수(quantile), 합계(summation) 를 구할 수 있습니다.
RasterBlack Calss, RasterStack Class와 같이 여러개의 층을 가지는 레스터 클래스 객체 (multi-layered raster classes objects) 에 대해서 앞서 소개한 요약 통계량을 구하는 함수를 적용하면 각 층별로 따로 따로 요약 통계량이 계산됩니다.
(2) 레스터 객체 시각화 하기 (visualizing raster objects)
## -- visualization of raster objects
## plot()
plot(elev, main = "raster objects")
레스터 객체의 픽셀 속성값에 대해 히스토그램(histogram for raster objects)을 그리려면 hist() 함수를 사용하면 됩니다.
## histogram
hist(elev, main = "histogram for raster objects")
레스터 객체의 픽셀 속성값에 대해서 raster 패키지의 raster::density() 함수를 사용하여 추정 밀도 곡선(smoothed density estimates curve) 을 그릴 수 있습니다.
## raster::density() : density plot (smoothed density estimates)
density(elev, main = "density plot for raster objects")
레스터 객체의 픽셀 속성값에 대해 boxplot() 함수를 사용하면 상자그림(box plot for raster objects)을 그릴 수 있습니다.
## boxplot
boxplot(elev, main = "box plot for raster objects")
만약 레스터 객체에 대해 시각화를 하려고 하는데 안된다면 values() 또는 getValues() 함수를 사용해서 레스터 객체로 부터 픽셀의 속성값을 반환받은 결과에 대해서 시각화를 하면 됩니다.
레스터 객체의 행과 열의 일부분을 가져오는 것은 Base R의 '[' 연산자('[' operator) 를 사용합니다. raster_object[i, j] 또는 raster_object[Cell_IDs] 구문으로 i행과 j 열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레스터 객체로 부터 일부분 가져오기는 '(a) 지리정보가 아닌 속성 정보를 가져오기(non-spatial subsetting)'와, '(b) 지리정보 가져오기 (spatial subsetting)' 의 두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는데요, 이번 포스팅은 '(a) 레스터 객체로부터 지리정보가 아닌 속성 정보를 가져오기'에 대해서만 다루겠습니다.
elev[1, 1] 은 evel 레스터 객체로 부터 1행과 1열에 위치한 픽셀(pixel, cell) 에 위치한 속성 값을 가져온 것입니다.
elev[1] 은 Cell ID 1번에 위치한 속성 값을 가져온 것입니다. (R 레스터는 좌측 상단에서 부터 1행 1열, Cell ID 1번이 시작하므로 elev[1, 1] 과 elev[1] 은 동일한 위치의 픽셀 속성 값을 가져옴)
## -- (1) Raster subsetting is done with the base R operator '['
## , which accepts a variety of inputs:
## - non-spatial subsetting: row-column indexing, cell IDs
## - spatial subsetting: coordinates, another spatial object
## subsetting the value of the top left pixel in the raster object 'elev'
## (1-1) row-column indexing
elev[1, 1]
# [1] 1
## (1-2) cell IDs
elev[1]
# [1] 1
레스터 객체의 전체 속성 값을 Cell ID의 순서대로 모두 가져오고 싶으면 values(), getValues() 함수 또는 [] 연산자를 사용하면 됩니다.
(2) 다층 레스터 객체(multi-layered laster objects)로 부터 일부 층(layers) 가져오기
(subsetting layers from multi-layered laster objects, a raster brick or stack)
다층 레스터 객체(multi-layered laster objects)로는 RasterBrick 클래스와 RasterStack 클래스가 있습니다. (자세한 설명은 rfriend.tistory.com/617 를 참고하세요.) 이들 다층 레스터 객체로 부터 특정 층을 가져오려면 raster 패키지의 subset() 함수를 사용합니다.
먼저, 예제로 사용할 수 있도록 grain 이라는 레스터 객체를 하나 더 만들고, 이를 (1)에서 만들었던 elev 레스터 객체에 stack() 함수로 쌓아서 다층 레스터 객체를 만들어보겠습니다.
values() 로 r_stack 안의 각 층별 속성값을 조회해보면 아래처럼 "elev" 층과 "grain" 층의 각 Cell 별로 들어있는 속성 값이 들어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values(r_stack), getValues(r_stack), r_stack[] 모두 동일하게 각 층의 모든 속성값을 반환합니다.)
(3) 레스터 객체의 일부 값을 수정하기 (modifying values in raster objects)
만약 레스터 객체의 일부 값을 새로운 값으로 덮어쓰기, 업데이트, 수정을 하고 싶으면 앞에서 소개한 subsetting 기능을 활용해서 원하는 위치의 행과 열, 픽셀 ID(Pixel ID, Cell ID) 또는 층(layer) 의 subsetting 한 부분에 새로운 속성 값을 할당(<-, =) 하면 됩니다.
아래의 첫번째 예는 elev[1, 1] <- 0 은 elev 레스터 객체의 1행 1열 위치의 셀에 새로운 값 '0'을 할당한 것입니다.
아래의 두번째 예는 evel[1, 1:3] <- 0 은 elev 레스터 객체의 1행의 1~3열 위치 셀에 새로운 값 '0'을 할당하여 속성값을 수정한 것입니다.
이번 포스팅부터는 레스터 객체 데이터셋을 조작하는 방법(manipulating raster objects dataset)을 몇 개의 포스팅으로 나누어서 소개하겠습니다.
그 중에서도 이번 포스팅에서는 R 문자형을 요인형으로 변환하여 레스터 객체 데이터의 속성으로 만드는 방법(making raster objects attributes by converting character to factor type)을 알아보겠습니다.
R의 레스터 객체(raster objects)는 데이터 속성으로 숫자형(numeric), 정수형(integer), 논리형(logical), 요인형(factor) 데이터 유형을 지원하며, 문자형(character)은 지원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문자형으로 이루어진 범주형 변수 값(categorical variables' values)을 가지고 레스터 객체의 속성(attritubes)을 만들고 싶으면 (1) 먼저 문자형을 요인형으로 변환 (또는 논리형으로 변환)하고, --> (2) 요인형 값을 속성 값으로 해서 레스터 객체를 만들어야 합니다.
먼저, 레스터 객체 데이터에 대한 이해를 돕기위해, 정수형(integer) 값을 속성 값으로 가지는 레스터 객체를 raster 패키지의 raster() 함수를 사용해서 만들어보겠습니다. 아래의 예에서는 6 x 6 = 36개의 픽셀(pixels, cells)에, x와 y의 좌표값의 최소~최대값 범위의 좌표에, 1~36까지의 정수를 속성 값으로 가지는 레스터 객체 데이터 입니다.
## ========================================================
## R GeoSpatial data analysis
## : Manipulating Raster Objects
## [reference] https://geocompr.robinlovelace.net/attr.html
## ========================================================
## raster data represent continuous surfaces.
## Because of their unique structure,
## subsetting and other operations on raster datasets work in a different way.
library(raster)
## -- creating an example raster dataset
elev <- raster(nrows = 6, # integer > 0. Number of rows
ncols = 6, # integer > 0. Number of columns
#res = 0.5, # numeric vector of length 1 or 2 to set the resolution
xmn = -1.5, # minimum x coordinate (left border)
xmx = 1.5, # maximum x coordinate (right border)
ymn = -1.5, # minimum y coordinate (bottom border)
ymx = 1.5, # maximum y coordinate (top border)
vals = 1:36) # values for the new RasterLayer
elev
# class : RasterLayer
# dimensions : 6, 6, 36 (nrow, ncol, ncell)
# resolution : 0.5, 0.5 (x, y)
# extent : -1.5, 1.5, -1.5, 1.5 (xmin, xmax, ymin, ymax)
# crs : +proj=longlat +datum=WGS84 +no_defs
# source : memory
# names : layer
# values : 1, 36 (min, max)
plot(elev, main = 'raster datasets with numeric valeus')
이제 본론으로 넘어가서, 문자형으로 이루어진 범주형 변수를 요인형으로 변환한 후에, 이를 다시 레스터 객체의 속성으로 하여 레스터 객체를 만드는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
(1)
문자형(character)을 요인형(factor)으로 변환할 때는 R base 패키지의 factor() 를 사용합니다. 이때 요인의 수준(levels)은 범주형 변수 내 유일한(unique) 문자열을 오름차순으로 정렬(sorting in an increasing order)하여 부여가 되는데요, 만약 요인의 수준(levels)을 특정 순서에 맞게 분석가가 수작업으로 설정을 하고 싶다면 levels 매개변수를 사용해서 직접 요인 수준을 입력을 해주면 됩니다.
아래 예에서는 모래의 굵기의 수준에 따라서 "점토(clay)", "미세모래(silt)", "모래(sand)"의 순서로 levels 매개변수를 이용해 요인의 수준을 설정해서, factor() 함수로 문자형으로 구성된 범주형 변수('grain_order')를 요인형 변수('grain_fact')으로 변환해준 것입니다.
<--> 만약 factor() 함수로 요인형으로 변환할 때 levels 매개변수로 요인 수준의 순서를 지정해주지 않는다면, default 인 유일한 문자형 값들의 오름차순 정렬에 따라서 ["clay", "sand", "silt"] 의 순서로 설정이 되었을 것입니다.
## -- raster objects can contain values of class numeric, integer, logical or factor,
## but not character.
## Raster objects can also contain categorical values of
## class logical or factor variables in R.
grain_order <- c("clay", "silt", "sand")
## random sampling with replacement
set.seed(1004)
grain_char <- sample(grain_order, 36, replace = TRUE)
grain_char
# [1] "sand" "silt" "clay" "clay" "clay" "sand" "silt" "silt" "silt" "clay" "sand" "silt" "sand" "sand"
# [15] "sand" "clay" "sand" "clay" "sand" "clay" "sand" "sand" "silt" "clay" "sand" "silt" "sand" "clay"
# [29] "clay" "clay" "sand" "sand" "clay" "sand" "sand" "clay"
## converting character into factor
grain_fact <- factor(grain_char,
# ordered factor: clay < silt < sand in terms of grain size.
levels = grain_order)
grain_fact
# [1] sand silt clay clay clay sand silt silt silt clay sand silt sand sand sand clay sand clay sand clay
# [21] sand sand silt clay sand silt sand clay clay clay sand sand clay sand sand clay
# Levels: clay silt sand
(2) 요인형 값을 속성으로 한 레스터 객체 데이터 만들기 (creating raster objects with factor values)
위의 (1)번에서 문자열 값을 요인형으로 변환한 값을 가지고 raster 패키지의 raster() 함수를 사용해서 레스터 객체를 만들어보겠습니다. 행의 수(nrows) 6개, 열의 수(ncols) 6개의 총 36개 픽셀(pixcels, cells)을 가지는 레스터 객체에 raster(nrows = 6, ncols = 6, res = 0.5, vals = grain_fact)('grain_fact' 는 요인형 값을 가지는 벡터임) 을 입력하였습니다.
레스터 객체 데이터에 대해서 plot() 함수로 간단하게 시각화를 할 수 있습니다. 이때 요인형의 수준 값(levels)인 clay = 1, silt = 2, sand = 3 의 정수값을 가지고 시각화를 하게 됩니다.
이번에는 levels() 와 cbind() 함수를 사용해서 기존의 요인의 수준에다가 wetness = c("wet", "moist", "dry") 라는 새로운 요인 수준을 추가(adding new factor levels to the attritube table) 하여 보겠습니다.
## -- Use the function levels() for retrieving and
## adding new factor levels to the attribute table:
levels(grain_raster)
# [[1]]
# ID VALUE
# 1 1 clay
# 2 2 silt
# 3 3 sand
## adding new factor levels
levels(grain_raster)[[1]] = cbind(levels(grain_raster)[[1]],
wetness = c("wet", "moist", "dry"))
## retrieving factor levels
levels(grain_raster)
# [[1]]
# ID VALUE wetness
# 1 1 clay wet
# 2 2 silt moist
# 3 3 sand dry
레스터 객체 데이터의 "attritubes"라는 이름의 속성 테이블(attritube table)에 요인형 수준 값이 저장되어 있으며, 여기에 새로운 요인형 수준 값이 추가되는 것입니다. ratify() 함수를 사용하면 이 속성 테이블(attritube table)에 저장되어 있는 값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 -- The raster object stores the corresponding look-up table
## or “Raster Attribute Table” (RAT) as a data frame in a new slot named attributes,
## which can be viewed with ratify(grain)
ratify(grain_raster)
# class : RasterLayer
# dimensions : 6, 6, 36 (nrow, ncol, ncell)
# resolution : 0.5, 0.5 (x, y)
# extent : -1.5, 1.5, -1.5, 1.5 (xmin, xmax, ymin, ymax)
# crs : +proj=longlat +datum=WGS84 +no_defs
# source : memory
# names : layer
# values : 1, 3 (min, max)
# attributes :
# ID
# 1
# 2
# 3
레스터 객체의 각 픽셀(pixcel, cell)은 단 하나의 값만을 가질 수 있습니다. 이 예제에서는 각 픽셀이 하나의 요인 수준 값을 가지고 있는데요, 아래 예는 레스터 객체의 1번, 10번, 26번 픽셀의 요인 수준 값이 3, 1, 2 이고, 이들 요인 수준 값에 대응하는 속성 정보를 factorValues() 함수를 사용하여 속성 테이블(attritube table) 로 부터 매핑하여 보여주는 것입니다.
## -- looking up the attributes in the corresponding attribute table
grain_raster[c(1, 10, 26)]
# [1] 3 1 2
factorValues(grain_raster, grain_raster[c(1, 10, 26)])
# VALUE wetness
# 1 sand dry
# 2 clay wet
# 3 silt moist
지난번 포스팅에서는 지리 벡터 데이터의 두 테이블의 Join Key 를 정규표현식을 사용한 패턴 매칭을 통해 일치를 시킨 후에 두 데이터 테이블을 Join 하는 방법(rfriend.tistory.com/626)을 소개하였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sf 클래스의 지리 벡터 데이터에서 Base R, dplyr, tidyr 의 R 패키지를 이용하여 기존 속성을 가지고 새로운 속성을 만드는 방법과, 지리 정보(spatial information)을 제거하는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
(1) Base R 로 지리 벡터 데이터에 새로운 속성 만들기
(2) dplyr 로 지리 벡터 데이터에 새로운 속성 만들기 : mutate(), transmute()
(3) tidyr 로 지리 벡터 데이터의 기존 속성을 합치거나 분리하기 : unite(), separate()
(4) dplyr 로 지리 벡터 데이터의 속성 이름 바꾸기 : rename(), setNames()
(5) 지리 벡터 데이터에서 지리 정보 제거하기 : st_drop_geometry()
(1) Base R 로 지리 벡터 데이터에 새로운 속성 만들기
먼저 예제로 사용할 sf 클래스 객체 데이터셋으로는, spData 패키지에 내장된 "world" 데이터셋을 사용하겠습니다. "world" 데이터셋에는 177개 국가의 지리기하 geometry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sf 클래스를 사용하여 지리공간 데이터 처리 및 분석을 할 수 있습니다. 원래의 데이터를 덮어쓰지 않기 위해 "world_new" 라는 복사 데이터셋을 추가로 하나 더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데이터 전처리를 위해 dplyr, tidyr 패키지를 불러오겠습니다.
## =============================================================
## GeoSpatial data analysis using R
## : Creating vector attributes and removing spatial information
## : reference: https://geocompr.robinlovelace.net/attr.html
## =============================================================
library(sf)
library(spData)
library(dplyr) # mutate(), transmute()
library(tidyr) # unite(), separate()
str(world)
# tibble [177 x 11] (S3: sf/tbl_df/tbl/data.frame)
# $ iso_a2 : chr [1:177] "FJ" "TZ" "EH" "CA" ...
# $ name_long: chr [1:177] "Fiji" "Tanzania" "Western Sahara" "Canada" ...
# $ continent: chr [1:177] "Oceania" "Africa" "Africa" "North America" ...
# $ region_un: chr [1:177] "Oceania" "Africa" "Africa" "Americas" ...
# $ subregion: chr [1:177] "Melanesia" "Eastern Africa" "Northern Africa" "Northern America" ...
# $ type : chr [1:177] "Sovereign country" "Sovereign country" "Indeterminate" "Sovereign country" ...
# $ area_km2 : num [1:177] 19290 932746 96271 10036043 9510744 ...
# $ pop : num [1:177] 8.86e+05 5.22e+07 NA 3.55e+07 3.19e+08 ...
# $ lifeExp : num [1:177] 70 64.2 NA 82 78.8 ...
# $ gdpPercap: num [1:177] 8222 2402 NA 43079 51922 ...
# $ geom :sfc_MULTIPOLYGON of length 177; first list element: List of 3
# ..$ :List of 1
# .. ..$ : num [1:8, 1:2] 180 180 179 179 179 ...
# ..$ :List of 1
# .. ..$ : num [1:9, 1:2] 178 178 179 179 178 ...
# ..$ :List of 1
# .. ..$ : num [1:5, 1:2] -180 -180 -180 -180 -180 ...
# ..- attr(*, "class")= chr [1:3] "XY" "MULTIPOLYGON" "sfg"
# - attr(*, "sf_column")= chr "geom"
# - attr(*, "agr")= Factor w/ 3 levels "constant","aggregate",..: NA NA NA NA NA NA NA NA NA NA
# ..- attr(*, "names")= chr [1:10] "iso_a2" "name_long" "continent" "region_un" ...
## do not overwrite the original data
world_new = world
sf 클래스 객체의 속성(Attributes)에 대해서 Base R 의 기본 구문인 '$' 와 '=', '<-' 을 사용해서 새로운 속성을 만들 수 있습니다.
가령, 국가별 인구("pop")를 면적("area_km2")로 나누어서 '(km2 면적 당) 인구밀도("pop_dens")' 라는 새로운 속성을 만들어 보겠습니다. 새로운 속성 칼럼인 "pop_dens"가 생성이 된 후에도 "world_new" 데이터셋은 sf 클래스 객체의 특성을 계속 유지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plot(world_new["pop_dens"] 로 시각화를 하면, 아래와 같이 다면 (multi-polygons) 기하로 표현되는 세계 국가별 지도 위에, 기존 칼럼을 사용해 계산해서 새로 만든 속성 칼럼인 '인구밀도("pop_dens")' 를 시각화할 수 있습니다.
## creating new column using Base R
world_new$pop_dens = world_new$pop / world_new$area_km2
## attribute data operations preserve the geometry of the simple features
## plot() will visualize map using geometry
plot(world_new['pop_dens'])
(2) dplyr 로 지리 벡터 데이터에 새로운 속성 만들기 : mutate(), transmute()
위 (1)번의 Base R 대비 dplyr 를 사용하면, 한꺼번에 여러개의 신규 속성 칼럼을 생성할 수 있고, 체인('%>%')을 이용해서 파이프 연산자로 이전 작업 결과를 다음 작업으로 넘겨주는 방식으로 작업 흐름을 코딩할 수 있어 가독성이 뛰어난 코드를 짤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mutate() 함수는 기존 데이터셋에 새로 만든 데이터셋을 추가해주는 반면에, transmute() 함수는 기존의 칼럼은 모두 제거를 하고 새로 만든 칼럼과 지리기하 geometry 칼럼만을 반환합니다. (이때 sf 클래스 객체의 경우 '지리기하 geometry 칼럼'이 껌딱지처럼 달라붙어서 계속 따라 다닌다는 점이 중요합니다!)
## creating new columns using dplyr
world %>%
mutate(pop_dens = pop / area_km2)
# Simple feature collection with 177 features and 11 fields
# geometry type: MULTIPOLYGON
# dimension: XY
# bbox: xmin: -180 ymin: -90 xmax: 180 ymax: 83.64513
# geographic CRS: WGS 84
# # A tibble: 177 x 12
# iso_a2 name_long continent region_un subregion type area_km2 pop lifeExp gdpPercap geom pop_dens
# * <chr> <chr> <chr> <chr> <chr> <chr> <dbl> <dbl> <dbl> <dbl> <MULTIPOLYGON [arc_degree]> <dbl>
# 1 FJ Fiji Oceania Oceania Melanesia Sove~ 1.93e4 8.86e5 70.0 8222. (((180 -16.06713, 180 -16.~ 45.9
# 2 TZ Tanzania Africa Africa Eastern ~ Sove~ 9.33e5 5.22e7 64.2 2402. (((33.90371 -0.95, 34.0726~ 56.0
# 3 EH Western S~ Africa Africa Northern~ Inde~ 9.63e4 NA NA NA (((-8.66559 27.65643, -8.6~ NA
# 4 CA Canada North Ame~ Americas Northern~ Sove~ 1.00e7 3.55e7 82.0 43079. (((-122.84 49, -122.9742 4~ 3.54
# 5 US United St~ North Ame~ Americas Northern~ Coun~ 9.51e6 3.19e8 78.8 51922. (((-122.84 49, -120 49, -1~ 33.5
# 6 KZ Kazakhstan Asia Asia Central ~ Sove~ 2.73e6 1.73e7 71.6 23587. (((87.35997 49.21498, 86.5~ 6.33
# 7 UZ Uzbekistan Asia Asia Central ~ Sove~ 4.61e5 3.08e7 71.0 5371. (((55.96819 41.30864, 55.9~ 66.7
# 8 PG Papua New~ Oceania Oceania Melanesia Sove~ 4.65e5 7.76e6 65.2 3709. (((141.0002 -2.600151, 142~ 16.7
# 9 ID Indonesia Asia Asia South-Ea~ Sove~ 1.82e6 2.55e8 68.9 10003. (((141.0002 -2.600151, 141~ 140.
# 10 AR Argentina South Ame~ Americas South Am~ Sove~ 2.78e6 4.30e7 76.3 18798. (((-68.63401 -52.63637, -6~ 15.4
# # ... with 167 more rows
transmute() 함수를 사용해서 '(km2 면적당) 인구밀도 ("pop_dens")' 의 신규 속성을 만들면, 기존의 속성 칼럼들은 모두 제거 되고 새로운 '인구밀도' 속성 칼럼과 '지리기하 geom' 칼럼만 남게 됩니다.
(3) tidyr 로 지리 벡터 데이터의 기존 속성을 합치거나 분리하기 : unite(), separate()
tidyr 패키지에 있는 unite(data, col, lll, sep = "_", remove = TRUE) 함수를 사용하면 기존의 속성 칼럼을 합쳐서 새로운 속성 칼럼을 만들 수 있습니다. 이때 remove = TRUE 매개변수를 설정해주면 기존의 합치려는 두 개의 칼럼은 제거되고, 새로 만들어진 칼럼만 남게 됩니다.
## -- unite(): pasting together existing columns.
library(tidyr)
world_unite = world %>%
unite("con_reg", continent:region_un,
sep = ":",
remove = TRUE)
world_unite
# Simple feature collection with 177 features and 9 fields
# geometry type: MULTIPOLYGON
# dimension: XY
# bbox: xmin: -180 ymin: -90 xmax: 180 ymax: 83.64513
# geographic CRS: WGS 84
# # A tibble: 177 x 10
# iso_a2 name_long con_reg subregion type area_km2 pop lifeExp gdpPercap geom
# <chr> <chr> <chr> <chr> <chr> <dbl> <dbl> <dbl> <dbl> <MULTIPOLYGON [arc_degree]>
# 1 FJ Fiji Oceania:Oc~ Melanesia Sovere~ 1.93e4 8.86e5 70.0 8222. (((180 -16.06713, 180 -16.55522, 179.3~
# 2 TZ Tanzania Africa:Afr~ Eastern Afr~ Sovere~ 9.33e5 5.22e7 64.2 2402. (((33.90371 -0.95, 34.07262 -1.05982, ~
# 3 EH Western Sa~ Africa:Afr~ Northern Af~ Indete~ 9.63e4 NA NA NA (((-8.66559 27.65643, -8.665124 27.589~
# 4 CA Canada North Amer~ Northern Am~ Sovere~ 1.00e7 3.55e7 82.0 43079. (((-122.84 49, -122.9742 49.00254, -12~
# 5 US United Sta~ North Amer~ Northern Am~ Country 9.51e6 3.19e8 78.8 51922. (((-122.84 49, -120 49, -117.0312 49, ~
# 6 KZ Kazakhstan Asia:Asia Central Asia Sovere~ 2.73e6 1.73e7 71.6 23587. (((87.35997 49.21498, 86.59878 48.5491~
# 7 UZ Uzbekistan Asia:Asia Central Asia Sovere~ 4.61e5 3.08e7 71.0 5371. (((55.96819 41.30864, 55.92892 44.9958~
# 8 PG Papua New ~ Oceania:Oc~ Melanesia Sovere~ 4.65e5 7.76e6 65.2 3709. (((141.0002 -2.600151, 142.7352 -3.289~
# 9 ID Indonesia Asia:Asia South-Easte~ Sovere~ 1.82e6 2.55e8 68.9 10003. (((141.0002 -2.600151, 141.0171 -5.859~
# 10 AR Argentina South Amer~ South Ameri~ Sovere~ 2.78e6 4.30e7 76.3 18798. (((-68.63401 -52.63637, -68.25 -53.1, ~
# # ... with 167 more rows
tidyr 패키지의 separate(data, col, sep = "[^:alnum:]]+", remove = TRUE, ...) 함수는 기존에 존재하는 칼럼을 구분자(sep)를 기준으로 두 개의 칼럼으로 분리(separation, splitting)를 해줍니다. 이때 remove = TRUE 매개변수를 설정해주면 기존의 분리하려는 원래 속성 칼럼은 제거가 됩니다.
역시, unite() 또는 separate() 함수 적용 후의 결과 데이터셋은 sf 클래스 객체로서, 제일 뒤에 지리기하 geometry 칼럼이 계속 붙어 있습니다.
## -- separate(): splitting one column into multiple columns
## : using either a regular expression or character positions.
world_separate <- world_unite %>%
separate(con_reg,
c("continent", "region_un"),
sep = ":")
world_separate
# Simple feature collection with 177 features and 10 fields
# geometry type: MULTIPOLYGON
# dimension: XY
# bbox: xmin: -180 ymin: -90 xmax: 180 ymax: 83.64513
# geographic CRS: WGS 84
# # A tibble: 177 x 11
# iso_a2 name_long continent region_un subregion type area_km2 pop lifeExp gdpPercap geom
# <chr> <chr> <chr> <chr> <chr> <chr> <dbl> <dbl> <dbl> <dbl> <MULTIPOLYGON [arc_degree]>
# 1 FJ Fiji Oceania Oceania Melanesia Sover~ 1.93e4 8.86e5 70.0 8222. (((180 -16.06713, 180 -16.55522,~
# 2 TZ Tanzania Africa Africa Eastern Af~ Sover~ 9.33e5 5.22e7 64.2 2402. (((33.90371 -0.95, 34.07262 -1.0~
# 3 EH Western S~ Africa Africa Northern A~ Indet~ 9.63e4 NA NA NA (((-8.66559 27.65643, -8.665124 ~
# 4 CA Canada North Ame~ Americas Northern A~ Sover~ 1.00e7 3.55e7 82.0 43079. (((-122.84 49, -122.9742 49.0025~
# 5 US United St~ North Ame~ Americas Northern A~ Count~ 9.51e6 3.19e8 78.8 51922. (((-122.84 49, -120 49, -117.031~
# 6 KZ Kazakhstan Asia Asia Central As~ Sover~ 2.73e6 1.73e7 71.6 23587. (((87.35997 49.21498, 86.59878 4~
# 7 UZ Uzbekistan Asia Asia Central As~ Sover~ 4.61e5 3.08e7 71.0 5371. (((55.96819 41.30864, 55.92892 4~
# 8 PG Papua New~ Oceania Oceania Melanesia Sover~ 4.65e5 7.76e6 65.2 3709. (((141.0002 -2.600151, 142.7352 ~
# 9 ID Indonesia Asia Asia South-East~ Sover~ 1.82e6 2.55e8 68.9 10003. (((141.0002 -2.600151, 141.0171 ~
# 10 AR Argentina South Ame~ Americas South Amer~ Sover~ 2.78e6 4.30e7 76.3 18798. (((-68.63401 -52.63637, -68.25 -~
# # ... with 167 more rows
(4) dplyr 로 지리 벡터 데이터의 속성 이름 바꾸기 : rename(), setNames()
dplyr 패키지로 sf 객체이자 data frame 인 데이터셋의 특정 속성 변수 이름을 바꾸려면 rename(data, new_name = old_name) 함수를 사용합니다.
만약 여러개의 속성 칼럼 이름을 한꺼번에 변경, 혹은 부여하고 싶다면 stats 패키지의 setNames(object = nm, nm) 함수를 dplyr의 체인 파이프 라인에 같이 사용하면 편리합니다.
##-- setNames() changes all column names at once
new_names <- c("i", "n", "c", "r", "s", "t", "a", "p", "l", "gP", "geom")
world_setnm <- world %>%
setNames(new_names)
names(world_setnm)
# [1] "i" "n" "c" "r" "s" "t" "a" "p" "l" "gP" "geom"
(5) 지리 벡터 데이터에서 지리 정보 제거하기 : st_drop_geometry()
위의 (1)~(4)번까지의 새로운 속성 칼럼 생성/ 이름 변경 등의 작업을 하고 난 결과 데이터셋에는 항상 '지리기하 geometry' 칼럼이 착 달라붙어서 따라 다녔습니다. 이게 지리공간 데이터 분석을 할 때 '속성(attributes)' 정보와 '지리기하 geometry' 정보를 같이 연계하여 분석해야 하는 경우에는 매우 유용합니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속성'정보만 필요하고 '지리기하 geometry' 정보는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을 텐데요, 이럴때 많은 저장 용량과 처리 부하를 차지하는 '지리기하 geometry' 칼럼은 제거하고 싶을 것입니다. 이때 sf 패키지의 st_drop_geometry() 함수를 사용해서 sf 클래스 객체에 들어있는 '지리기하 geometry' 정보를 제거할 수 있습니다.
## -- st_drop_geometry(): remove the geometry
## "sf" class
class(world)
# [1] "sf" "tbl_df" "tbl" "data.frame"
## "data.frame"
world_data <- world %>% st_drop_geometry()
class(world_data)
# [1] "tbl_df" "tbl" "data.frame"
지난번 포스팅에서는 두 개의 sf 클래스 객체의 지리 벡터 데이터 테이블을 R dplyr 패키지의 함수를 사용하여 Mutating Joins, Filtering Joins, Nesting Joins 하는 방법을 소개하였습니다(rfriend.tistory.com/625).
이번 포스팅에서는 여기서 특수한 경우로 조금 더 깊이 들어가서, 두 테이블을 Join 하는 기준이 되는 Key 칼럼이 문자열로 되어 있고, 데이터 표준화가 미흡한 문제로 인해 정확하게 매칭이 안되어서 Join 이 안되는 경우에, R의 stringr 패키지를 사용해 정규 표현식의 문자열 매칭(a string matching using regular expression)으로 Key 값을 변환하여 두 테이블을 Join 하는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
먼저, 전세계 국가별 지리기하와 속성 정보를 모아놓은 sf 클래스 객체의 지리 벡터 데이터셋인 "world" 와, 2016년과 2017년 국가별 커피 생산량을 집계한 data frame 인 "coffee_data" 의 두 개 데이터셋을 spData 로 부터 가져오겠습니다.
그리고 두 개 테이블 Join 을 위해 dplyr 패키지를 불러오고, 정규 표현식을 이용한 문자열 매칭을 위해 stringr 패키지를 불러오겠습니다.
"world" 데이터셋은 177개의 행(국가)과 11개의 열(속성(attritubes)과 지리기하 칼럼(gemgraphy column)) 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coffee_data"는 47개의 행과 3개의 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
## inner join using a string matching
## - reference: https://geocompr.robinlovelace.net/attr.html
## =========================================================
library(sf)
library(spData)
library(dplyr)
library(stringr) # for a string matching
## -- two geography vector dataset tables : world, coffee_data
## -- (a) world: World country pologons in spData
names(world)
# [1] "iso_a2" "name_long" "continent" "region_un" "subregion" "type" "area_km2" "pop" "lifeExp" "gdpPercap"
# [11] "geom"
dim(world)
# [1] 177 11
## -- (b) coffee_data: World coffee productiond data in spData
## : estimated values for coffee production in units of 60-kg bags in each year
names(coffee_data)
# [1] "name_long" "coffee_production_2016" "coffee_production_2017"
dim(coffee_data)
# [1] 47 3
(1) 두 테이블 inner join 하기: inner_join(x, y, by)
"world"와 "coffee_data"의 두개 데이터 테이블을 inner join 해보면 45개의 행(즉, 국가)과 13개의 열(= "world"로 부터 11개의 칼럼 + "coffee_data"로 부터 2개의 칼럼) 으로 이루어진 Join 결과를 반환합니다.
위에서 "coffee_data" 데이터셋이 47개의 행으로 이루어졌다고 했는데요, inner join 한 결과는 행이 45개로서 2개가 서로 차이가 나는군요.
## -- inner join
world_coffee_inner = inner_join(x = world,
y = coffee_data,
by = "name_long")
## or shortly
world_coffee_inner = inner_join(world, coffee_data)
# Joining, by = "name_long"
dim(world_coffee_inner)
# [1] 45 13
nrow(world_coffee_inner)
# [1] 45
(2) 두 문자열의 원소 차이 알아보고 문자열 매칭으로 찾아보기: setdiff(), str_subset()
Join 전과 후에 어느 국가에서 차이가 나는지 확인해 보기 위해 setdiff() 함수를 사용해서 Join의 Key로 사용이 되었던 'name_long' (긴 국가 이름)에 대해 "coffee_data" 와 "world" 데이터의 원소 간 차이를 구해보았습니다. 그랬더니 ["Congo, Dem. Rep. of", "Others"] 의 2개 'name_long' 에서 차이가 있네요.
다음으로, "world" 의 'name_long' 칼럼의 원소 중에서 "Dem"으로 시작하고 "Congo"를 포함하고 있는 문자열을 stringr 패키지의 str_subset(string, pattern) 함수를 사용해 정규 표현식의 문자열 매칭으로 찾아보겠습니다. "world" 데이터셋의 'name_long' 칼럼에는 "Democratic Republic of the Congo" 라는 이름으로 데이터가 들어가 있네요. ("coffee_data" 데이터셋에는 "Confo, Dem. Rep. of" 라고 들어가 있다보니, 서로 같은 국가임에도 left_join() 을 했을 때 서로 정확하게 매칭이 안되어 Join 이 안되었습니다.)
참고로, str_subset() 은 x[str_detect(x, pattern)] 의 wrapper 입니다. 그리고 grep(pattern, x, value = TRUE) 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 setdiff(): calculates the set difference of subsets of two data frames
setdiff(coffee_data$name_long, world$name_long)
# [1] "Congo, Dem. Rep. of" "Others"
## string matching (regex) function from the stringr package
str_subset(world$name_long, "Dem*.+Congo")
# [1] "Democratic Republic of the Congo"
(3) 문자열 매칭으로 Key 값 업데이트 하고, 다시 두 테이블 inner join 하기
이제 Join Key로 사용하는 'name_long' 칼럼에서 "Congo" 국가에 대한 표기가 "world" 와 "coffee_data" 의 두 개 데이터셋이 서로 조금 다르다는 이유로 Join 이 안된다는 문제를 해결해 보겠습니다.
grepl(pattern, x) 함수로 "coffee_data" 데이터셋의 'name_long' 칼럼에서 "Congo" 가 들어있는 행을 찾아서, 그 행의 값의 str_subset() 의 정규표현식 문자열 매칭으로 찾은 (str_subset(world$name_long, "Dem*.+Congo") 이름인 "Demogratic Republic of the Congo" 라는 이름으로 대체를 해보겠습니다. 이렇게 하면 "world"와 "coffee_data"에 있는 "Congo" 국가의 긴 이름이 동일하게 "Demogratic Republic of Congo"로 되어 Join 이 제대로 될 것입니다.
## updating 'name_long' values using a string matching
coffee_data$name_long[grepl("Congo", coffee_data$name_long)] =
str_subset(world$name_long, "Dem*.+Congo")
## inner join again using an updated key
world_coffee_match = inner_join(world, coffee_data)
#> Joining, by = "name_long"
nrow(world_coffee_match)
#> [1] 46
참고로, R에서 문자열 패턴 매칭을 할 때 grepl(pattern, x) 은 패턴 매칭되는 여부에 대해 TRUE, FALSE 로 블러언 값을 반환하는 반면에, grep(pattern, x) 은 패턴 매칭이 되는(TRUE) 위치 인덱스(Position Index)를 반환합니다.
dplyr 패키지로 두 테이블을 Join 할 때 왼쪽(x, LHS, Left Hand Side)에 써주는 테이블의 데이터 구조로 Join 한 결과를 반환합니다. 즉, Join 할 테이블을 써주는 순서가 중요합니다.
가령, 아래의 예에서는 "world" 가 'sf' 클래스의 지리 벡터 객체이고, 'coffee_data'는 tydiverse의 tibble, data.frame 객체입니다. left_join(world, coffee_data) 로 'world' 의 'sf' 지리 벡터 객체를 Join 할 때 왼쪽(LHS, x)에 먼저 써주면 Join 한 결과도 'sf' 클래스의 지리 벡터 객체가 됩니다.(R이 지리공간 벡터 데이터임을 알고 'sf' 클래스를 적용한 지리공간 데이터 처리 및 분석이 가능함).
반면에, left_join(coffee_data, world) 로 'coffee_data'의 'data.frame'을 Join 할 때 왼쪽(LHS, x)에 먼저 써주면 Join 한 결과도 'data.frame' 객체가 반환됩니다. (지리공간 'sf' 클래스가 더이상 아님)
## starting with a non-spatial dataset and
## adding variables from a simple features object.
## the result is not another simple feature object,
## but a data frame in the form of a tidyverse tibble:
## the output of a join tends to match its first argument.
## -- (a) 'sf' object first, then returns 'sf' object.
world_coffee = left_join(world, coffee_data)
#> Joining, by = "name_long"
class(world_coffee)
# [1] "sf" "tbl_df" "tbl" "data.frame"
## -- (b) 'data.frame' object first, then returns 'data.frame' object.
coffee_world = left_join(coffee_data, world)
#> Joining, by = "name_long"
class(coffee_world)
#> [1] "tbl_df" "tbl" "data.frame"
(5) data.frame을 'sf' 클래스 객체로 변환하기
'sf' 패키지의 st_as_df() 함수를 사용하면 data.frame 을 'sf' 클래스 객체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 -- converting data.frame to 'sf' class object
st_as_sf(coffee_world)
# imple feature collection with 47 features and 12 fields (with 2 geometries empty)
# geometry type: MULTIPOLYGON
# dimension: XY
# bbox: xmin: -117.1278 ymin: -33.76838 xmax: 156.02 ymax: 35.49401
# geographic CRS: WGS 84
# # A tibble: 47 x 13
# name_long coffee_producti~ coffee_producti~ iso_a2 continent region_un subregion type area_km2 pop lifeExp gdpPercap
# <chr> <int> <int> <chr> <chr> <chr> <chr> <chr> <dbl> <dbl> <dbl> <dbl>
# 1 "Angola" NA NA AO Africa Africa Middle A~ Sove~ 1245464. 2.69e7 60.9 6257.
# 2 "Bolivia" 3 4 BO South Am~ Americas South Am~ Sove~ 1085270. 1.06e7 68.4 6325.
# 3 "Brazil" 3277 2786 BR South Am~ Americas South Am~ Sove~ 8508557. 2.04e8 75.0 15374.
# 4 "Burundi" 37 38 BI Africa Africa Eastern ~ Sove~ 26239. 9.89e6 56.7 803.
# 5 "Cameroo~ 8 6 CM Africa Africa Middle A~ Sove~ 460325. 2.22e7 57.1 3196.
# 6 "Central~ NA NA CF Africa Africa Middle A~ Sove~ 621860. 4.52e6 50.6 597.
# 7 "Congo, ~ 4 12 NA NA NA NA NA NA NA NA NA
# 8 "Colombi~ 1330 1169 CO South Am~ Americas South Am~ Sove~ 1151883. 4.78e7 74.0 12716.
# 9 "Costa R~ 28 32 CR North Am~ Americas Central ~ Sove~ 53832. 4.76e6 79.4 14372.
# 10 "C\u00f4~ 114 130 CI Africa Africa Western ~ Sove~ 329826. 2.25e7 52.5 3055.
# # ... with 37 more rows, and 1 more variable: geom <MULTIPOLYGON [arc_degree]>
다음번 포스팅에서는 '지리공간 벡터 데이터에서 새로운 속성을 만들고 지리공간 정보를 제거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