탐색적 데이터분석, 통계나 기계학습 모델링을 할 때의 데이터 형태를 보면 관측치의 식별자 ID(identifier) 별로 하나의 행(row)에 여러개의 특성정보(features)를 여러개의 칼럼(columns)으로 해서 옆으로 넓게 (horizontally wide format) 만든 데이터셋을 사용합니다. 

 

그런데 Database의 Table 은 이와는 다르게, 보통 식별자 ID 별로 칼럼 이름(column name)과 측정값(measured value)을 여러개의 행(rows)으로 해서 세로로 길게 (vertically long format) 만든 테이블로 데이터를 관리합니다. Vertically Long Format 의 테이블이 새로 생성되는 데이터를 추가(insert into)하거나 삭제(delete from) 하기도 쉽고, 그룹별로 연산 (group by operation) 을 하기에도 쉽습니다. 그리고 API 서비스와 DB를 연계할 때도 세로로 긴 형태의 테이블이 사용됩니다. 

(통계/기계학습을 하려고 할때는 DB로 부터 Query를 해서 Cross-tab 을 하여 horizontally wide format 의 DataFrame이나 Array 로 바꾸어서 이후 분석을 진행합니다.)

 

그럼, PostgreSQL, Greenplum DB에서 옆으로 넓은 형태의 테이블을 세로로 긴 형태의 테이블로 변형하는 2가지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 (Transposing columns into rows in PostgreSQL, Greenplum) (Reshaping horizontally wide-format into verticaly long-format table in PostgreSQL, Greenplum)

 

(1) UNION ALL 함수를 이용하여 여러개의 칼럼을 행으로 변환하기

(2) UNNEST() 함수를 이용하여 여러개의 칼럼을 행으로 변환하기

 

 

PostgreSQL, Greenplum, Transposing columns into rows, Reshaping wide to long format table

 

 

먼저, 예제로 사용한 간단한 테이블을 생성해 보겠습니다. 학생 ID 별로 국어, 영어, 수학, 과학, 역사, 체육 점수를 옆으로 넓은 형태(horizontally wide-format)로 저장해놓은 테이블입니다. 

 

----------------------------------------------
-- Transposing columns into rows
-- (1) UNION ALL
-- (2) UNNEST()
----------------------------------------------

-- creating a sample table
DROP TABLE IF EXISTS score_wide;
CREATE TABLE score_wide (
	id int NOT NULL
	, korean_score int
	, english_score int
	, math_score int
	, physics_score int
	, history_score int
	, athletics_score int
);

INSERT INTO score_wide VALUES 
(1, 100, 100, 100, 100, 100, 90)
, (2, 80, 75, 85, 80, 60, 100)
, (3, 100, 98, 60, 55, 95, 85)
, (4, 80, 75, 98, 100, 85, 95);


SELECT * FROM score_wide ORDER BY id;

--id|korean_score|english_score|math_score|physics_score|history_score|athletics_score|
----+------------+-------------+----------+-------------+-------------+---------------+
-- 1|         100|          100|       100|          100|          100|             90|
-- 2|          80|           75|        85|           80|           60|            100|
-- 3|         100|           98|        60|           55|           95|             85|
-- 4|          80|           75|        98|          100|           85|             95|

 

 

 

(1) UNION ALL 함수를 이용하여 여러개의 칼럼을 행으로 변환하기

 

일반적으로 많이 알려져 있고, 또 실행 성능도 다음에 소개할 UNNEST() 보다 상대적으로 조금 더 좋습니다.

하지만 아래의 예제 코드를 보면 알 수 있는 것처럼, 칼럼의 개수가 여러개일 경우 코드가 길어지고 동일한 코드 항목 항목이 반복되어서 복잡해보이는 단점이 있습니다. 

 

-- (1) using UNION ALL
DROP TABLE IF EXISTS score_long_union;
CREATE TABLE score_long_union AS (
	SELECT id, 'korean' AS class_nm, korean_score AS score FROM score_wide 
	UNION ALL 
	SELECT id, 'english' AS class_nm, english_score AS score FROM score_wide 
	UNION ALL 
	SELECT id, 'math' AS class_nm, math_score AS score FROM score_wide 
	UNION ALL 
	SELECT id, 'physics' AS class_nm, physics_score AS score FROM score_wide 
	UNION ALL 
	SELECT id, 'history' AS class_nm, history_score AS score FROM score_wide 
	UNION ALL 
	SELECT id, 'athletics' AS class_nm, athletics_score AS score FROM score_wide 
);


SELECT * FROM score_long_union ORDER BY id, class_nm;

--id|class_nm |score|
----+---------+-----+
-- 1|athletics|   90|
-- 1|english  |  100|
-- 1|history  |  100|
-- 1|korean   |  100|
-- 1|math     |  100|
-- 1|physics  |  100|
-- 2|athletics|  100|
-- 2|english  |   75|
-- 2|history  |   60|
-- 2|korean   |   80|
-- 2|math     |   85|
-- 2|physics  |   80|
-- 3|athletics|   85|
-- 3|english  |   98|
-- 3|history  |   95|
-- 3|korean   |  100|
-- 3|math     |   60|
-- 3|physics  |   55|
-- 4|athletics|   95|
-- 4|english  |   75|
-- 4|history  |   85|
-- 4|korean   |   80|
-- 4|math     |   98|
-- 4|physics  |  100|

 

 

 

(2) UNNEST() 함수를 이용하여 여러개의 칼럼을 행으로 변환하기

 

다음으로, UNNEST() 함수를 사용하는 방법은 위의 UNION ALL 대비 코드가 한결 간결해서 가독성이 좋습니다. 

반면에, UNNEST() 함수를 사용하면 연산이 된 후의 ARRAY 에 대해서는 INDEX가 지원이 안되다보니 위의 UNION ALL 대비 상대적으로 실행 성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습니다.(UNION ALL 방법이 UNNEST() 방법보다 약 2배 정도 성능이 빠름.) 

 

-- (2) using UNNEST(ARRAY)

DROP TABLE IF EXISTS score_long_unnest;
CREATE TABLE score_long_unnest AS (
	SELECT 
		id 
		, UNNEST(ARRAY['korean', 'english', 'math', 
        		'physics', 'history', 'athletics']) 
			AS class_nm 
		, UNNEST(ARRAY[korean_score, english_score, math_score, 
			physics_score, history_score, athletics_score]) 
			AS score
	FROM score_wide
);


SELECT * FROM score_long_unnest ORDER BY id, class_nm;

--id|class_nm |score|
----+---------+-----+
-- 1|athletics|   90|
-- 1|english  |  100|
-- 1|history  |  100|
-- 1|korean   |  100|
-- 1|math     |  100|
-- 1|physics  |  100|
-- 2|athletics|  100|
-- 2|english  |   75|
-- 2|history  |   60|
-- 2|korean   |   80|
-- 2|math     |   85|
-- 2|physics  |   80|
-- 3|athletics|   85|
-- 3|english  |   98|
-- 3|history  |   95|
-- 3|korean   |  100|
-- 3|math     |   60|
-- 3|physics  |   55|
-- 4|athletics|   95|
-- 4|english  |   75|
-- 4|history  |   85|
-- 4|korean   |   80|
-- 4|math     |   98|
-- 4|physics  |  100|

 

다음번 포스팅에서는 이번 포스팅과는 반대로, PostgreSQL, Greenplum에서 세로로 긴 테이블을 pivot 하여 옆으로 넓은 테이블로 변환하는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 (https://rfriend.tistory.com/714)

 

이번 포스팅이 많은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행복한 데이터 과학자 되세요!  :-)

 

728x90
반응형
Posted by Rfriend
,

지난번 포스팅에서는 PostgreSQL, Greenplum DB에서 JOIN 문을 사용하여 여러개의 테이블을 Key 값을 기준으로 왼쪽+오른쪽으로 연결하는 다양한 방법(INNER JOIN, LEFT OUTER JOIN, RIGHT OUTER JOIN, FULL JOIN)을 소개하였습니다. (참고 ==> https://rfriend.tistory.com/657)

 

이번 포스팅에서는 PostgreSQL, Greenplum DB에서 UNION, UNION ALL 함수를 사용해서 여러개의 테이블을 위+아래로 합치는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  이전의 JOIN 이 Key값 기준 연결/매칭의 개념이었다면 이번 포스팅의 UNION, UNION ALL은 합집합(union of sets) 의 개념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1) UNION : 중복값 제거 후 테이블을 위+아래로 합치기

(2) UNION ALL : 중복값 제거하지 않은 채 테이블을 위+아래로 합치기

(3) 전제조건: 합치려는 테이블 칼럼의 데이터 유형(data type)이 서로 같아야 함. 

 

 

UNION 은 두 테이블의 중복값을 제거한 후에 두 테이블을 위+아래로 합친 결과를 반환하는 반면에, UNION ALL 은 중복값 여부를 확인하지 않고 두 테이블의 모든 값을 위+아래로 합친 결과를 반환합니다. 

 

POSTGRESQL, GREENPLUM UNION, UNION ALL

 

 

UNION 의 경우 두 테이블의 값을 스캔 해서 두 테이블 간의 중복값 여부를 확인하는 중간 단계가 존재하기 때문에 두 테이블의 각 크기가 매우 큰 경우  UNION ALL 대비 상대적으로 연산 시간이 오래 걸립니다. 만약 위+아래로 합치려는 두 테이블의 값 간에 중복값이 없다거나 혹은 중복값 여부를 확인할 필요 없이 모두 합치기만 필요한 요건의 경우에는 UNION ALL 을 사용하는 것이 속도 면에서 유리합니다. 

 

 

간단한 예제 테이블들을 만들어서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
-- UNION vs. UNION ALL
-------------------------------------

-- Sample Table 1
DROP TABLE IF EXISTS sample_1;
CREATE TABLE sample_1 (x1 int, x2 int) 
DISTRIBUTED randomly;

INSERT INTO sample_1 VALUES (1, 11), (2, 12), (3, 13), (4, 14), (5, 15);
SELECT * FROM sample_1 ORDER BY x1;
--x1 x2
--1	11
--2	12
--3	13
--4	14
--5	15


-- Sample Table 2
DROP TABLE IF EXISTS sample_2;
CREATE TABLE sample_2 (x1 int, x2 int) 
DISTRIBUTED randomly;

INSERT INTO sample_2 VALUES (4, 14), (5, 15), (6, 16), (7, 17), (8, 18);
SELECT * FROM sample_2 ORDER BY x1;

--x1 x2
--4	14
--5	15
--6	16
--7	17
--8	18

 

 

 

(1) UNION : 중복값 제거 후 테이블을 위+아래로 합치기

 

SELECT column1, column2, ... FROM table1 

UNION

SELECT column1, column2, ... FROM table2

와 같은 형식의 구문으로 두 테이블에서 중복값을 제거한 후에 위+아래로 합칠 수 있습니다. 

 

--------------------
-- (1) UNION
--------------------
SELECT * FROM sample_1 
UNION 
SELECT * FROM sample_2
ORDER BY x1;

--x1 x2
--1	11
--2	12
--3	13
--4	14
--5	15
--6	16
--7	17
--8	18

 

 

 

(2) UNION ALL : 중복값 제거하지 않은 채 테이블을 위+아래로 합치기

 

SELECT column1, column2, ... FROM table1 

UNION ALL

SELECT column1, column2, ... FROM table2

와 같은 형식의 구문으로 두 테이블에서 중복값을 제거하지 않은 상태에서 (중복값 체크 없음) 위+아래로 합칠 수 있습니다. 

 

-------------------------
-- (2) UNION ALL 
-------------------------
SELECT * FROM sample_1 
UNION  ALL 
SELECT * FROM sample_2
ORDER BY x1;

--x1 x2
--1	11
--2	12
--3	13
--4	14
--4	14 -- 중복
--5	15
--5	15 -- 중복
--6	16
--7	17
--8	18

 

 

 

(3) 전제조건: 합치려는 테이블 칼럼의 데이터 유형(data type)이 서로 같아야 함. 

 

만약 UNION, UNION ALL 로 합치려는 두 테이블의 칼럼의 데이터 유형(data type)이 서로 같지 않다면, (아래의 예에서는 sample_1 테이블의 x2 칼럼은 integer, sample_3 테이블의 x2 칼럼은 text로서 서로 다름), "ERROR: UNION types integer and text cannot be matched" 라는 에러 메시지가 발생합니다. 

 

-- (3) The data types of all corresponding columns must be compatible.

-- Sample Table 3
DROP TABLE IF EXISTS sample_3;
CREATE TABLE sample_3 (x1 int, x2 text) 
DISTRIBUTED randomly;

INSERT INTO sample_3 VALUES (10, 'a'), (20, 'b'), (30, 'c'), (40, 'd'), (50, 'f');
SELECT * FROM sample_3 ORDER BY x1;

--x1		y
--10	a
--20	b
--30	c
--40	d
--50	f

-- ERROR
SELECT * FROM sample_1 
UNION
SELECT * FROM sample_3;

--SQL Error [42804]: ERROR: UNION types integer and text cannot be matched
--  Position: 38

 

 

이번 포스팅이 많은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행복한 데이터 과학자 되세요. :-)

 

728x90
반응형
Posted by Rfriend
,

빅데이터 환경에서 사이즈가 어마무시하게 큰 테이블 간 JOIN은 부하가 매우 크므로 되도록이면 데이터 스키마 설계를 할 때 JOIN을 하지 않고도 분석을 할 수 있도록 요건을 반영하곤 합니다. ARRAY, MAP, STRUCT 등의 컬렉션 데이터형이 정규화를 깨더라도 빅데이터 환경에서 사용되는 이유입니다.

 

하지만, 아무리 스키마 설계를 잘 한다고 해도 분석이 복잡해지면 JOIN을 안하고 모든 것을 처리하기가 힘든 것도 사실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두 개 이상의 테이블을 좌, 우로 서로 연결해서 분석할 때 사용하는 Hive 조인 문으로

 

 - INNER JOIN

 - LEFT OUTER JOIN

 - RIGHT OUTER JOIN

 - FULL OUER JOIN

 - CROSS JOIN(CARTESIAN PRODUCT JOIN)

 - MAP-SIDE JOIN  과

 

두 개 이상의 테이블을 상, 하로 서로 붙여서 분석할 때 사용하는

 - UNION ALL

 

문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기존에 관계형 DB를 사용했던 분이라면 아마 쉽게 이해할 수 있을 내용들입니다.

 

 

  • 내부 조인 (INNER JOIN)

 

[쿼리 예시]


SELECT a.var1, a.var2, b.var2
    FROM mytable_1 a JOIN mytable_2 b 
    ON a.var1 = b.var1 -- EQUI-JOIN 만 가능하며, NON-EQUI JOIN은 불가
    WHERE a.prd_cd = 'ABC' AND b.prd_cd = 'DEF';

 


SELECT a.var1, a.var2, a.var3, b.var4
    FROM mytable_1 a JOIN mytable_2 b 
    ON a.var1 = b.var1 AND a.var2 = b.var2 -- 2 JOIN keys
    WHERE a.prd_cd = 'ABC';

 

   

SELECT a.var1, a.var2, b.var3, c.var4
    FROM mytable_1 a JOIN mytable_1 b ON a.var1 = b.var1
                            JOIN mytable_1 c ON a.var1 = c.var1
    WHERE (a.prd_cd = 'ABC' AND b.prd_cd = 'DEF')

              AND (c.prd_cd = 'GHI');

 

 

 

 

  • 왼쪽 세미 조인 (LEFT SEMI-JOIN)

--   : 오른쪽 테이블에서 ON의 술어를 만족하는 레코드를 찾으면 왼쪽 테이블의 레코드를 반환

--   : 내부 조인(INNER JOIN)을 최적화한 특수한 형태로, 내부 조인보다 빠름

--   : 왼쪽 세미 조인만 지원하며, 오른쪽 세미 조인은 미지원

 

SELECT a.var1, a.var2, a.var3
    FROM mytable_1 a LEFT SEMI JOIN mytable_2 b 
    ON a.var1 = b.var1 AND a.var2 = b.var2;

 

 

 

  • 왼쪽 외부 조인 (LEFT OUTER JOIN)

 

[ 쿼리 예시 ]

 

SELECT a.var1, a.var2, a.var3, b.var4
    FROM mytable_1 a LEFT OUTER JOIN mytable_2 b 
    ON a.var1 = b.var1 AND a.var2 = b.var2
    WHERE a.prd_cd = 'ABC';

 

 

 

  • 오른쪽 외부 조인 (RIGHT OUTER JOIN)

 

[ 쿼리 예시 ]

 

SELECT a.var1, a.var2, a.var3, b.var4
    FROM mytable_1 a RIGHT OUTER JOIN mytable_2 b 
    ON a.var1 = b.var1 AND a.var2 = b.var2
    WHERE a.prd_cd = 'ABC';

 

 

 

  • 완전 외부 조인 (FULL OUTER JOIN)

 

[ 쿼리 예시 ]

 

SELECT a.var1, a.var2, a.var3, b.var4
    FROM mytable_1 a FULL OUTER JOIN mytable_2 b 
    ON a.var1 = b.var1 AND a.var2 = b.var2
    WHERE a.prd_cd = 'ABC';

 

 

 

  • 교차 조인 (CROSS JOIN (CARTESIAN PRODUCT JOIN))

 

[ 쿼리 예시]

 

SELECT * FROM mytable_1 JOIN mytable_2;

 

 

쿼리 문이 JOIN 문 중에서 제일 간단합니다.  그런데 속도는 제일 느리고 또 위험하기도 합니다. ^^;

 

A*B 개의 ROW를 반환(가령 A 테이블이 100개 row, B 테이블이 1000개 row를 가지고 있다면 A JOIN B 는 100 * 1,000 = 100,000 개 row 출력)하므로 출력량도 제일 많습니다. 뿐만 아니라 다른 JOIN문과 달리 CORSS JOIN (CARTESIAN PRODUCT JOIN)은 병렬처리도 안되므로 느리기까지 합니다.

 

SELECT 문을 가지고 시스템을 다운시키기가 쉽지 않은데요, SELECT 문으로 혹시 HIVE가 다운되거나 성능이 현격히 저하되었다면 JOIN 걸 때 ON, WHERE 절을 빼먹고 CROSS JOIN (Cartesian Product JOIN)을 실수로 쿼리를 날린게 아닌가 하고 범인 후보로 의심을 해볼 수 있습니다.

 

CROSS JOIN 걸 때는 '내가 원하는 output/분석 목적이 CROSS JOIN 맞나?'를 재차 확인하고 쿼리를 날리기 바랍니다.  특히 'BIG~ 데이터' 환경에서는 말이지요.

 

 

 

  • Map-Side JOIN

 

[ 쿼리 예시 ]

 

hive> set hive.auto.convert.join=true; -- default is false

 

SELECT a.var1, a.var2, a.var3, b.var4
    FROM mytable_1 a JOIN mytable_2 b -- 큰 테이블은 왼쪽, 크기가 작은 테이블은 오른쪽!
    ON a.var1 = b.var1 AND a.var2 = b.var2
    WHERE a.prd_cd = 'ABC';

 

 

 

맵 사이드 조인을 하려면 먼저 set hive.auto.convert.join=true; 로 설정을 바꿔줘야 합니다.

맵 사이드 조인은 이름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크기가 작은 테이블을 메모리에 캐시하고, 큰 테이블은 맵퍼로 보내 후에, 캐시한 작은 테이블로부터 일치하는 모든 것을 찾아낼 수 있기 때문에 맵에서 모든 조인을 할 수 있습니다. 

  => 일반 JOIN 과 달리 리듀스 단계를 건너뛸 수 있어서 속도가 빠른 장점이 있습니다. 성능 최적화를 위해 알아두면 좋은 JOIN 방법입니다.  

 

 

이상으로 JOIN 문을 마칩니다.

 


 

 

두 개 이상의 테이블을 합칠 때 사용하는 UNION ALL 입니다.

  • UNION ALL

 

-- 두 개 이상의 테이블을 위, 아래로 합치기
-- subquery 는 같은 수의 칼럼, 각 칼럼의 Data Type 동일해야 함

 

[ 쿼리 예시 ]

 

SELECT a.var1, a.var2, a.var3
    FROM (
        SELECT a1.var1, a1.var2, a1.var3, 'A1' as source
        FROM mytable a1
    UNION ALL
        SELECT a2.var1, a2.var2, a2.var3, 'A2' as source
        FROM mytable a2
    ) a
SORT BY a.var1 ASC, a.var2 DESC;

 

 

이상으로 HIVE에서 테이블 연결하거나 합쳐서 분석할 때 사용하는 JOIN문, UNION ALL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다음번 포스팅에서는 하이브 뷰(VIEW)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이번 포스팅이 도움이 되었다면 아래의 '공감 ~♡'를 꾸욱 눌러주세요.

 

 

728x90
반응형
Posted by Rfrien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