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번 포스팅에서는 연관규칙(association rule)의 평가척도로서 지지도(support), 신뢰도(confidence), 향상도(lift), IS측도(Interest-Support), 교차지지도(cross support) 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연관규칙 (1세대) 알고리즘으로서 Apriori algorithm 에 대해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알고리즘을 이해하면 컴퓨터 내부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컴퓨터가 어떻게 그 많은 연산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는지 원리를 알 수 있습니다.

 

 

 

1) 왜 효율적인 연관규칙 탐색 알고리즘이 필요한가?

 

거래에서 나타나는 모든 항목들의 집합(item set)을 이라고 할 때, 모든 가능한 부분집합의 개수는 공집합을 제외하고 개 입니다.

 

그리고 모든 가능한 연관규칙의 개수입니다.

 

이를 그래프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은데요, 가능한 부분집합의 개수나 연관규칙의 개수가 item 이 증가할 때 마다 지수적으로 증가함을 알 수 있습니다.

 

item이 5개이면 subset 개수가 31개, rule 개수가 180개가 되며, => item이 10개만 되어도 subset 개수가 1023개, rule 개수가 57002 개가 됩니다.  이렇게 지수적으로 증가하는 subset과 rule들을 연필과 종이를 가지고 일일이 계산한다는 것은 미친짓입니다.  그리고 컴퓨터로 계산한다고 해도 계산복잡도와 필요 연산량이 어마무시하게 많아져서 시간이 굉~장히 오래 걸립니다.(심하면 하루를 꼬박 넘기고, 이틀, 사흘....)  이러므로 "빠르고 효율적인 연관규칙 계산 알고리즘"과 "연관규칙 평가 측도(기준)"이 필요한 것입니다.  

 

 

 

 

 

5개의 원소 항목을 가지는 I={A, B, C, D, E} 에 대하여 가능한 모든 항목집합을 예시로 풀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2) 연관규칙 생성 전략 및 Algorithm에는 무엇이 있나?

 

부분집합의 개수가 2^k - 1 개로서 지수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에 모든 경우의 수에 대해 지지도를 계산하는 것이 연산량이 엄청납니다. 그래서 연산량을 줄이기 위해 아래의 3가지 전략 중의 하나를 사용합니다.

 

1) 모든 가능한 항목집합의 개수(M)를 줄이는 전략 ▶ Apriori algorithm

2) Transaction 개수(N)을 줄이는 전략 ▶ DHP algorithm

3) 비교하는 수(W)를 줄이는 전략 ▶ FP-growth algorithm

 

 

 

3) 빈발항목집합을 추출하는 Apriori algorithm 의 원리, 원칙은 무엇인가?

 

위의 3개의 알고리즘 중에서 1세대 Apriori algorithm에 대해서만 예를 들어서 설명해보겠습니다.

 

최소지지도 이상을 갖는 항목집합을 빈발항목집합(frequent item set)이라고 합니다.  모든 항목집합에 대한 지지도를 계산하는 대신에 최소 지지도 이상의 빈발항목집합만을 찾아내서 연관규칙을 계산하는 것이 Apriori algorithm의 주요 내용입니다. 

 

빈발항목집합 추출의 Apriori Principle

 

1) 한 항목집합이 빈발(frequent)하다면 이 항목집합의 모든 부분집합은 역시 빈발항목집합이다.
(frequent item sets -> next step) 

 

2) 한 항목집합이 비비발(infrequent)하다면 이 항목집합을 포함하는 모든 집합은 비빈발항목집합이다. (superset -> pruning)

 

 

Apriori Pruning Principle


If there is any itemset which is infrequent, its superset should not be generated/tested
(Agrawal & Srikant @VLDB’94, Mannila, et al. @ KDD’ 94)

 

위의 Apriori Pruning Principal 을 도식화한 예시는 아래와 같습니다.  아래 예시 그림처럼 {A, B} item set이 비빈발항목(infrequent item set)이면 그 및에 {A, B}를 포함해서 줄줄이 딸린 {A, B, C}, {A, B, D}, {A, B, E}, {A, B, C, D}, {A, B, C, E}, {A, B, D, E}, {A, B, C, D, E}도 역시 비빈발항목인, 영양가 없는 superset 일 것이므로 볼 필요도 없으니 (안봐도 비디오...), 아예 처음부터 가지치기(pruning)를 하라는 것입니다. 

 

 

 

{A, B, C, D, E}의 5개 원소 항목을 가지는 4건의 transaction에서 minimum support 2건 (=2건/총4건=0.5) 기준으로 pruning 하는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위의 예시를 tree 형식으로 색깔로 infrequent item set과 그의 하위 superset을 나타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색깔 칠해진 superset 들은 가지치기(pruning) 당해서 지지도 계산을 하지 않게 됩니다.

 

 

[그림 1]

 

 

 

위에서 예와 그림으로 소개한 빈발항목집합 추출 Pseudo Aprior algorithm 은 아래와 같습니다.

 

Pseudo Apriori algorithm

 

[Reference] "Fast Algorithms for Mining Association Rules", Rakesh Agrawal, Ramakrishman Srikant, 1994

 

(위의 (3)번 apriori-gen(Lk-1) 에서 (k-1)-항목 빈발항목집합후보를 생성하고, (9)번에서 minimum support  count 보다 큰 빈발항목집합만 추출, 즉 최소지지도 미만은 pruning)

 

 

4) 빈발항목집합의 후보를 생성하고 연관규칙을 도출하는 Apriori algorithm의 원리는?

 

이후에 빈발항목집합의 후보(candidates list)를 생성하고, 연관규칙을 생성한 후에, 최소신뢰도 기준 (minimun confidence criteria)를 적용해서 최소 신뢰도에 미달하는 연관규칙은 제거(pruning)하게 됩니다. 

 

빈발항목집합 후보를 생성하기 위해, (k-1)-항목 빈발항목집합에서 처음 (k-2) 항목이 같은 항목들만 혼합하여 k-항목 빈발항목집합 후보를 생성합니다. 

아래에 2-항목 빈발항목집합 을 가지고 3항목 빈발항목후보 를 생성하는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2-항목 빈발항목집합에서 (k-1)-항목, 즉 1-항목이 같은 항목은 노란색을 칠한 {B}항목입니다. 따라서 {B}항목이 포함된 {B, C}와 {B, E}를 혼합해서 k-항목 빈발항목집합, 즉 3-항목 빈발항목집합 후보를 만들면 {B, C, E} 가 됩니다. 나머지 {A, B}, {C, E}는 무시하게 됩니다.  실제로 위의 [그림1]에서 살아남은 3-항목 빈발항목집합이 {B, C, E} 입니다 (3-항목 빈발항목의 나머지 항목집합은 superset으로서 pruned 됨).

 

 

[그림2]

 

[Reference] "R, SAS, MS-SQL을 활용한 데이터마이닝", 이정진, 자유아카데미, 2011

 

 

빈발항목집합을 도출했으므로 이제 연관규칙을 생성해보겠습니다.  빈발항목집합 L의 항목들을 공집합이 아닌 두 개의 서로 다른 부분집합 X와 Y로 나누어 하나의 연관규칙 X → Y를 만들었다고 합시다. k-항목 빈발항목집합 L은 최대 개(공집합과 전체집합 제외)의 연관규칙을 만들수가 있으며, 이중에서 최소신뢰도(minimum confidence) 조건을 만족하는 연관규칙을 찾으면 됩니다.

 

연관규칙 생성의 Apriori principle


빈발항목집합 L에 대하여 연관규칙 X → Y 가 최소신뢰도 기준을 만족하지 않으면 X의 어떠한 부분집합 X'에 대한 연관규칙 X' → L - X' 도 최소신뢰도 기준을 만족할 수 없다

 

 

3-항목 빈발항목집합 C3 {B, C, E}를 가지고 6개 (=2^k - 2 = 2^3 -2 = 8 - 2 =6개) 의 연관규칙을 만들어보면 아래 그림과 같습니다.  이때 가령 아래 검정색으로 테두리를 친 {C, E} → {B} 연관규칙이 최소신뢰도 기준에 미달했다고 할 경우, 그 밑에 딸린 {C} → {B, E}, {E} → {B, C} 연관규칙은 제거(pruning)하게 됩니다.

 

[그림3]

 

 

[그림1]에서 처럼 비빈발항목(infrequent)에 대해서 최소지지도(minimum support) 기준 미달 항목을 가지치기(pruning)하고 -> [그림2]에서 처럼 빈발항목후보를 생성한 후에 -> [그림3]에서 처럼 최소신뢰도(minimum confidence) 기준 미달하는 연관규칙을 제거해나가는 반복(iteration) 작업을 새로운 연관규칙이 없을 때까지 하게 됩니다.

 

 

다음번 포스팅에서는 R을 가지고 연관규칙 분석하는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이번 포스팅이 도움이 되었다면 아래의 '공감 ♡'를 꾸욱~ 눌러주세요.

 

728x90
반응형
Posted by Rfrien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