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변환 방법으로서
(3) 범주화
- 이산형화
- 이항변수화
(5) 차원 축소
- (5-1) 주성분분석
의 6개 구분 중에서 (5-1) 주성분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주성분분석이란 여러 변수들의 변량을 '주성분(Principal Component)'이라고 불리는, 서로 상관성이 높은 여러 변수들의 선형조합으로 만든 새로운 변수들로 요약, 축소하는 기법입니다. 첫번째 주성분으로 전체 변동을 가장 많이 설명할 수 있도록 하고, 두번째 주성분으로는 첫번째 주성분과는 상관성이 없어서(낮아서) 첫번째 주성분이 설명하지 못하는 나머지 변동을 정보의 손실없이 가장 많이 설명할 수 있도록 변수들의 선형조합을 만들게 됩니다.
주성분분석이나 요인분석은 다변량통계분석에서 배우게 되는데요, 선형대수(Linear Algebra)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없으면 이론으로 깊이 들어가는 것이 매우 어렵습니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수식이나 행렬 등 어려운 이론은 넘어가도록 하겠으며, 주성분분석이나 요인분석을 왜 하는지 알아보고, 분석을 위한 R script 와 결과 해석에 주안점을 두도록 하겠습니다.
(☞ 선형대수학은 본 블로그의 선형대수' 카테고리에 별도로 정리하였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벡터, 행렬, 내적, 외적, 선형독립, 기저, 벡터공간, 부분공간, 생성공간, 차원, 핵, 상공간, 차원정리, 계수, 고유값, 고유벡터 등))
주성분분석, 요인분석은 왜 하는가? 어떤 분석에 연계활용되나? |
1. 여러 변수들 간에 내재하는 상관관계, 연관성을 이용해 소수의 주성분 또는 요인으로 차원을 축소함으로써 데이터를 이해하기 쉽고 관리하기 쉽게 해줍니다. 사람은 1차원, 2차원까지는 그래프로 그려서 직관적으로 이해를 할 수 있지만, 3차원 이상으로만 넘어가도 집단의 모습을 인식하는데 큰 어려움을 겪게 됩니다.(향후 홀로그램이 상용화되면 3차원까지는 그래도 사람이 인지하기 편할수도 있겠네요 ^^;) 만약 변수가 10개 있는데 이를 단 2개의 차원으로 요약을 했는데도 변수들이 가지는 변동을 80~90% 설명할 수 있다면 굳이 변수 10개를 모두 이용할 필요가 없겠지요.
2. 회귀분석이나 의사결정나무(decision tree) 등의 모형 개발 시 입력변수들간의 상관관계가 높은 다중공선성(multicollinearity)이 존재할 경우 모형이 잘못만들어지고 따라서 해석에도 문제가 생기게 됩니다. 다중공선성이 존재할 경우 해결 방법 중의 하나가 바로 상관도가 높은 변수들을 하나의 주성분 혹은 요인으로 축소하여 모형개발에 활용하는 것입니다.
3. 연관성이 높은 변수 간 주성분 또는 요인분석을 통해 차원을 축소한 후에 군집분석을 수행하면 군집화 결과, 연산속도 개선에 기여하게 됩니다. 가령, Benefit 고객세분화를 위해 survey를 하게 되면 소구점들에 대한 다수의 문항(변수)의 답변 결과에 대해서 먼저 요인분석을 한 후에 요인점수(factor score)를 가지고 군집분석(clustering)을 수행하고 세분군집을 명명(naming)하게 됩니다.
4. 기계에서 나오는 다수의 센서데이터를 주성분분석이나 요인분석을 하여 차원을 축소한 후에 시계열로 분포나 추세의 변화를 분석하면 기계의 고장(fatal failure) 징후를 사전에 파악하는데 활용하기도 합니다.
위의 몇 개 사용예처럼 다른 분석의 입력변수로 주성분분석(주성분점수)나 요인분석(요인점수)를 통해 데이터를 전처리/변환하기도 하며, 아니면 주성분분석이나 요인분석을 바로 그 자체로 바로 활용하기도 합니다.
주성분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R script |
주성분분석에서는
- 상관행렬과 공분산행렬 중 어느 것을 선택할 것인가?
- 주성분의 개수를 몇 개로 할 것인가?
- 주성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어떤 변수를 선택할 것인가?
에 대해서 결정을 해야 하는데요,
한국신용평가정보에서 나온 '국내 증권회사의 주요 재무제표' (2007.3.31 기준)를 가지고 주성분분석을 R로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다음번 포스팅에서는 똑같은 데이터에 대해 요인분석을 해보겠습니다)
이 데이터는 18개 증권사별로 V1.총자본순이익율, V2.자기자본순이익율, V3.자기자본비율, V4.부채비율, V5.자기자본회전율 재무지표 변수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예제 데이터('국내 증권회사의 주요 재무제표' (2007.3.31 기준)) 다운로드 ☞
R로 외부 csv 데이터 불러오기
> ##---------------------------------------------------------------------- > ## 차원축소(dimension reduction) : (1) PCA(Principal Component Analysis) > ##---------------------------------------------------------------------- > > # csv 파일 불러오기 (file importing) > secu_com_finance_2007 <- read.csv("C:/Users/user/Documents/R/secu_com_finance_2007.csv", + header = TRUE, + stringsAsFactors = FALSE) > # V1 : 총자본순이익율 > # V2 : 자기자본순이익율 > # V3 : 자기자본비율 > # V4 : 부채비율 > # V5 : 자기자본회전율 |
주성분분석에서는 변수별로 단위가 다른 raw data를 사용하지 않고 평균과 표준편차를 가지고 표준화(standadization)한 데이터를 사용합니다. 그래야 scale이 다른 문제로 인한 데이터 왜곡을 피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V1.총자본순이익율, V2.자기자본순이익율, V3.자기자본비율, V5.자기자본회전율의 네 개의 변수는 숫자가 클 수록 좋다는 뜻이지만 V4.부채비율는 높을 수록 안 좋다고 해석하게 됩니다. 즉 V1, V2, V3, V5와 V4는 반대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는데요, 서로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게 해서 상관도가 높게 나와 같은 주성분에 반영되도록 하기 위해서 아래와 같이 V4.부채비율의 방향을 변환(표준화된 이후의 max 값에서 표준화된 이후의 관찰값을 뺌)하겠습니다. (부채비율 방향 변환 후에는 숫자가 높을 수록 좋은 회사라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주성분분석에 필요한 변수(V4_s가 아니라 V4_s2 가져온거 유의)만 indexing해서 선별하였습니다.
> # 부채비율(V4_s)을 방향(max(V4_s)-V4_s) 변환 > secu_com_finance_2007 <- transform(secu_com_finance_2007, + V4_s2 = max(V4_s) - V4_s) > > # variable selection > secu_com_finance_2007_2 <- secu_com_finance_2007[,c("company", "V1_s", "V2_s", "V3_s", "V4_s2", "V5_s")] |
먼저, 변수들간의 상관계수를 분석해보겠습니다. 주성분분석이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가 높다는 것을 가정하고 있기 때문에 한번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V1_s.총자본순이익률과 V2_s.자기자본순이익율이 상관관계가 높고(상관계수 0.615), V3_s.자기자본비율과 V4_s2.(방향변환 후의)부채비율이 상관관계가 매우 높게(상관계수 0.936) 나왔습니다. V5_s.자기자본회전율은 V2_s.자기자본순이익율과 상관관계가 있고, V3_s.자기자본비율과 V4_s2.(방향전환후의 부채비율)과는 역의 상관관계가 나왔네요.
> # Correlation analysis > cor(secu_com_finance_2007_2[,-1]) V1_s V2_s V3_s V4_s2 V5_s V1_s 1.00000000 0.6165153 0.3239780 0.3553930 0.01387883 V2_s 0.61651527 1.0000000 -0.5124351 -0.4659444 0.42263462 V3_s 0.32397800 -0.5124351 1.0000000 0.9366296 -0.56340782 V4_s2 0.35539305 -0.4659444 0.9366296 1.0000000 -0.53954570 V5_s 0.01387883 0.4226346 -0.5634078 -0.5395457 1.00000000 > > round(cor(secu_com_finance_2007_2[,-1]), digits=3) # 반올림 |
변수들간의 산점도 행렬도 살펴보도록 하죠.
> # Scatter plot matrix > plot(secu_com_finance_2007_2[,-1])
|
이제 prcomp() 함수를 사용해서 주성분분석을 실시합니다. 아래 결과에 보면 누적기여율(Cummulative Proportion)에 제1주성분(PC1)이 55.23%, 제 2주성분(PC1 & PC2)까지의 누적기여율dl 87.34%로 매우 높게 나왔습니다.
|
아래에 주성분분석 결과를 출력해보았습니다. 제1요인이 표준편차가 1.66으로 가장 크고, 제2요인이 1.26으로 그 다음으로 큰 식으로 순서가 있습니다.
그리고 Rotation 후의 고유벡터(eigenvector)의 계수를 보면 제1요인(PC1)은 자기자본비율(V3_s)와 부채비율(V4_s2)와 관련이 있고, 제 2요인(PC2)은 총자본순이익율(V1_s)과 자기자본순이익율(V2_s)와 관련이 있으며, 제 3요인(PC3)은 자기자본회전율(V5_s)와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 print(secu_prcomp) Standard deviations: [1] 1.6617648 1.2671437 0.7419994 0.2531070 0.1351235 Rotation: PC1 PC2 PC3 PC4 PC5 V1_s 0.07608427 -0.77966993 0.0008915975 -0.140755404 0.60540325 V2_s -0.39463007 -0.56541218 -0.2953216494 0.117644166 -0.65078503 V3_s 0.56970191 -0.16228156 0.2412221065 -0.637721889 -0.42921686 V4_s2 0.55982770 -0.19654293 0.2565972887 0.748094314 -0.14992183 V5_s -0.44778451 -0.08636803 0.8881182665 -0.003668418 -0.05711464 |
이처럼 변수와 주성분간 관계를 고려해서 주성분에 이름을 명명(naming)해보자면 PC1은 안정성, PC2는 수익성, PC3는 활동성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재무제표 배울 때 배우는 대표적인 재무평가 지표)
|
선형대수를 안배우면 용어, 이론 개념이 어려울 수 있는데요, 참고로 고유값(eigenvalue)와 고유벡터(eigenvector)에 대한 정의를 아래에 소개합니다.
[참고: 고유값(eigenvalue), 고유벡터(eigenvector) 용어설명]
|
PCA 로 차원축소 할 때 몇 개의 PCs 를 선택할 것인가에 대해 학문적으로 정의된 정답(universal rule)은 없으며, 많이 사용되는 '경험에서 나온 법칙(rule of thumb)'은 3가지 있습니다.
(1) 누적기여율(설명된 분산의 누적 비율)이 최소 (at least) 0.8 이상일 것.
(2) 단지 평균 분산보다 큰 PC만 선별할 것.
(만약 표준화한 데이터에 대한 상관관계행렬을 사용할 경우 고유값(eigenvalue)이 최소 1보다 큰 PC)
(3) Scree plot 을 그려봤을 때 꺽이는 부분 (elbow)이 있다면 elbow 지점 앞의 PC 개수 선택.
* source: Prof. Dr. Fabio Sigrist, Applied Multivariate Statistics
만약 PCA를 통해 계산한 PC score를 가지고 지도학습모형 (가령, 선형회귀모형)을 학습한다면 PCs 의 개수를 늘려가면서 Cross-validation을 해서 Loss function의 score를 최소로 하는 PC의 개수를 구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아래 예느 Scree plot 그래프를 그려서 고유값 곡선이 꺽이는 지점의 바로 앞의 주성분 개수를 선택한 것입니다. 아래 그래프로 보면 주성분 4개째에서 수평으로 드러누웠으므로 한개를 뺀 (4-1 = 3) 3개 주성분이 적합해 보입니다.
> # Scree Plot > plot(prcomp(secu_com_finance_2007_2[,c(2:6)]), type="l", + sub = "Scree Plot")
|
주성분1점수(principal component 1 score)과 주성분2점수(principal component 2 score)를 가지고 Biplot을 그려보겠습니다.
가로축 PC1(안정성)을 기준으로 보면 오른쪽에 V3_s, V4_s2 화살표가 향하는 쪽에 있는 부국증권, 한양증권, 유화증권사는 안정성이 높은 회사군이라고 해석을 할 수 있게 됩니다.
(참고: PC1 = 0.076*V1_s - 0.394*V2_s + 0.569*V3_s + 0.559*V4_s2 - 0.447*V5_s )
세로축 PC2(수익성)을 기준으로 보면 아래쪽에 있는 대우증권, 미래애셋증권사 등이 수익성이 좋은 축에 속합니다. (아래 식 부호가 (-) 라서 숫자 낮은 것이 수익성 좋다는 뜻)
(참고: PC2 = -0.779*V1_s - 0.565*V2_s - 0.162*V3_s - 0.196*V4_s2 - 0.086*V5_s )
> # Biplot > biplot(prcomp(secu_com_finance_2007_2[,c(2:6)]), cex = c(0.7, 0.8)) > > # 관측치별 주성분1, 주성분2 점수 계산(PC1 score, PC2 score) > secu_pc1 <- predict(secu_prcomp)[,1] > secu_pc2 <- predict(secu_prcomp)[,2] > > > # 관측치별 이름 매핑(rownames mapping) > text(secu_pc1, secu_pc2, labels = secu_com_finance_2007_2$company, + cex = 0.7, pos = 3, col = "blue")
|
이렇게 변환한 주성분점수를 가지고 다른 통계모형이나 데이터마이닝 모형 개발 시 input으로 활용해도 되겠습니다.
참고로, 변수에 대한 설명력의 누적기여율(cummulative proportion)이 80%가 되는 주성분의 개수 k개를 찾아서, 주성분 1번부터 주성분 k번째까지의 주성분점수를 반환하는 사용자 정의함수는 아래와 같습니다.
(Dr.Kevin 님의 댓글 덕분에 오류 잡아서 프로그램 수정하였습니다. Dr.Kevin님 감사합니다)
|
다음 포스팅에서는 요인분석(factor analysis)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이번 포스팅이 도움이 되었다면 아래의 '공감 ~♡' 단추를 꾸욱 눌러주세요.^^
'R 분석과 프로그래밍 > R 데이터 전처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R 데이터 변환 : (6) 시그널 데이터 변환 - FFT (Fast Fourier Transform) (9) | 2015.08.16 |
---|---|
R 데이터변환 : (5) 차원 축소 - (5-2) 요인분석(factor analysis) (8) | 2015.08.08 |
R 데이터 변환 : (4) 개수 축소 (Sampling) (14) | 2015.08.02 |
R 데이터 변환 : (3) 범주화 - (3-2) 이항변수화 (binarization), 더미변수(dummy variable) (10) | 2015.08.01 |
R 데이터 변환 (3) 범주화 - (3-1) 이산형화(discretization) (4) | 2015.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