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 포스팅에서는 연속형 변수들 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Measure로서 맨하탄 거리, 유클리드 거리, 표준화 거리, 마할라노비스 거리 등에 대해서 소개하였습니다. 


이전 포스팅에서는 명목형 데이터를 원소로 가지는 두 집합 X, Y의 특징들 간의 공통 항목들의 비율 (교집합의 개수 / 합집합의 개수)을 가지고 두 집합 간 유사성을 측정하는 Jaccard Index 와 (1 -  Jaccard Index)로 두 집합 간 거리(비유사성)을 측정하는 Jaccard Distance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문서를 유사도를 기준으로 분류 혹은 그룹핑을 할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코사인 거리(Cosine Distance)에 대해서 소개하겠습니다. 


코사인 거리를 계산할 때는 먼저 문서(Document, Text)에 포함된 단어들을 단어별로 쪼갠 후에, 단어별로 개수를 세어 행렬로 만들어주는 전처리가 필요합니다. (대소문자 처리라든지, 일상적으로 쓰이는 별로 중요하지 않은 단어 처리라든지... 이게 좀 시간이 오래걸리고, 단어 DB랑 처리 노하우가 필요한 부분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런 전처리가 다 되어있다고 가정하고, 코사인 거리 (혹은 코사인 유사도)의 정의와 계산 방법, R로 자동계산하는 방법을 소개하는데 집중하겠습니다. 


아래의 '참고 1'에서와 같이 코사인 유사도(Cosine Similarity)는 두 개의 문서별 단어별 개수를 세어놓은 특징 벡터 X, Y 에 대해서 두 벡터의 곱(X*Y)을 두 벡터의 L2 norm (즉, 유클리드 거리) 의 곱으로 나눈 값입니다. 


그리고 코사인 거리(Cosine Distance)는 '1 - 코사인 유사도(Cosine Similarity)' 로 계산합니다. 

(유사도 측정 지표인 Jaccard Index 와 비유사도 측정 지표인 Jaccard Distance 와 유사합니다)



[ 참고 1 : 코사인 유사도 (Cosine Similarity) vs. 코사인 거리 (Cosine Distance) ]





위의 공식만 봐서는 쉽게 이해가 안갈 수도 있을 것 같은데요, 아주 간단한 예를 가지고 좀더 자세하게 설명해 보겠습니다. 


Document 1, Document 2, Document 3 라는 3개의 문서가 있다고 해보겠습니다. 

그리고 각 문서에 'Life', 'Love', 'Learn' 이라는 3개의 단어가 포함되어 있는 개수를 세어보았더니 다음과 같았습니다. 



[ Table 1 : 3개의 문서별 단어별 출현 회수 (number of presence by words in each documents) ]


                           Corpus 

 Text

Life

Love 

Learn 

 Document 1

 1

0

 Document 2

 4

7

 Document 3

 40

70 

30

(예 : Document 2에서는 'Life'라는 단어가 4번, 'Love'라는 단어가 7번, 'Learn'이라는 단어가 3번 출현함(포함됨))



위의 'Table 1'의 각 문서별 출현하는 단어별 회수를 특징 벡터로 하는 벡터를 가지고 'Document 1'과 'Document 2' 간의 코사인 거리(Cosine Distance)를 사용해서 각 문서 간 비유사도를 계산해보겠습니다. 



[ 참고 2 : 'Document 1'과 'Document 2' 간의 코사인 거리 (cosine distance b/w doc. 1 and doc. 2) ]





코사인 거리(Cosine Distance)를 계산할 때 사용하는 코사인 유사도(Cosine Similarity) 의 분자, 분모를 보면 유추할 수 있는데요, 두 특징 벡터의 각 차원이 동일한 배수로 차이가 나는 경우에는 코사인 거리는 '0'이 되고 코사인 유사도는 '1'이 됩니다. 


위의 'Table 1'의 예에서 'Document 2'와 'Document 3'의 각 단어 (Life, Love, Learn)별 출현 회수가 동일하게 '10배'씩 차이가 나고 있는데요, 바로 이런 경우를 말하는 것입니다. Document 23 가 Document 2보다 쪽수가 더 많고 두꺼워서 각 단어별 출현 빈도는 더 높을 지 몰라도 각 단어가 출현하는 비율은 좀더 얇은 Document 2나 더 두꺼운 Document 3가 동일(유사)하므로 두 문서는 유사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고 코사인 거리는 판단하는 것입니다. 이처럼 단위에 상관없이 코사인 거리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꽤 편리하고 합리적입니다. 



[ 참고 3 : 'Document 2'과 'Document 3' 간의 코사인 거리 (cosine distance b/w doc. 2 and doc. 3]





이제부터는 R의 proxy package의 dist(x, method = "cosine") 함수를 사용해서 코사인 거리를 구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1) proxy 패키지를 설치하고 불러오기



## installing and loading proxy package

install.packages("proxy")

library(proxy)

 




(2) 문서별 단어별 출현 회수를 특징 벡터로 가지는 행렬 (Term Document Matrix) 만들기


위에서 설명했던 3개 문서의 'Life', 'Love', 'Learn'의 3개 단어 예제를 그대로 사용합니다. 



> # making Term Document Matrix

> Doc_1 <- c(1, 0, 5)

> Doc_2 <- c(4, 7, 3)

> Doc_3 <- c(40, 70, 30)

> Doc_corpus <- rbind(Doc_1, Doc_2, Doc_3) # matrix

> colnames(Doc_corpus) <- c("Life", "Love", "Learn")

> Doc_corpus

      Life Love Learn

Doc_1    1    0     5

Doc_2    4    7     3

Doc_3   40   70    30

 




(3) proxy 패키지의 dist(x, method = "cosine") 함수로 코사인 거리 계산하고, as.matrix() 함수를 사용해서 코사인 거리 계산 결과를 행렬로 반환하기



> # calculating cosine distance between documents using proxy package

> cosine_dist_Doc_mat <- as.matrix(dist(Doc_corpus, method = "cosine"))

> cosine_dist_Doc_mat

          Doc_1     Doc_2     Doc_3

Doc_1 0.0000000 0.5668373 0.5668373

Doc_2 0.5668373 0.0000000 0.0000000

Doc_3 0.5668373 0.0000000 0.0000000

 



위의 코사인 거리 계산 결과를 세로로 긴 형태 (long format) 로 저장하려면 아래의 for loop 문과 indexing을 사용한 코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n <- ncol(cosine_dist_Doc_mat) # number of columns
col_nm <- colnames(cosine_dist_Doc_mat) # column names
r <- 1 # row position number
cosine_dist_long <- data.frame() # blank data.frame to store the results

for (i in 1:(n-1)) {
  for (j in (i+1):n){
    cosine_dist_long[r, 1] <- col_nm[i]
    cosine_dist_long[r, 2] <- col_nm[j]
    cosine_dist_long[r, 3] <- cosine_dist_Doc_mat[i, j]
    r <- r+1
  }
}

cosine_dist_long
# V1    V2        V3
# 1 Doc_1 Doc_2 0.5668373
# 2 Doc_1 Doc_3 0.5668373
# 3 Doc_2 Doc_3 0.0000000

 





proxy package를 사용하지 않을 거면, 위의 '참고 1'의 공식을 사용하여 아래처럼 함수를 직접 짜서 코사인 거리를 계산할 수도 있습니다. 참고하세요. 



> # cosine distance function

> cosine_Dist <- function(x){

+   as.dist(1 - x%*%t(x)/(sqrt(rowSums(x^2) %*% t(rowSums(x^2))))) 

+ }

> cosine_Dist(Doc_corpus)

          Doc_1     Doc_2

Doc_2 0.5668373          

Doc_3 0.5668373 0.0000000

 



많은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이번 포스팅이 도움이 되었다면 아래의 '공감 ~ '를 꾸욱 눌러주세요. ^^


다음 포스팅에서는 문자열 편집거리(edit distance, Levenshtein metric)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Posted by Rfriend
,

연속형 변수에 대한 비유사성 측도(dissimilarity measure)로서 매우 다양한 측도가 있는데요, 예전 포스팅에서 맨하탄 거리(Manhattan distance), 유클리드 거리(Euclidean distance), 표준화 거리(Standardized distance), 마할라노비스 거리(Mahalanobis distance) 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 http://rfriend.tistory.com/199 , http://rfriend.tistory.com/201)


이번 포스팅에서는 범주형 데이터에 대해서 비유사성을 측정하는 지표로 Jaccard distance 를 소개하겠습니다. 


Jaccard distance 는 비교 대상의 두 개의 객체를 특징들의 집합(sets of characteristics)으로 간주합니다. 기본 개념이나 표기법이 집합론(set theory)에 기반을 두고 있습니다. 


Jaccard Index는 유사성 측도이고, 1에서 Jaccard Index값을 뺀 Jaccard distance는 비유사성 측도입니다. 


특징들의 두 개의 집합 X, Y가 있다고 했을 때, Jaccard Index는 집합 X와 집합 Y의 교집합(Intersection)의 원소의 개수()를 집합 X와 집합 Y의 합집합(Union)의 원소의 개수()로 나눈 값입니다.   따라서 Jaccard Index는 0~1 사이의 값을 가집니다. 


참고로, 표기는 집합론에서는 원소의 개수를 나타낼 때 사용하는 표기법이며, 다 아시겠지만, 는 교집합, 는 합집합을 의미합니다. 

Jaccard Distance 는 1 에서 Jaccard Index를 뺀 값입니다. ()


만약 두 집합의 합집합과 교집합이 서로 비슷하다면 자카드 지수는 거의 1에 근접(즉, 매우 유사)할 것이구요, 자카드 거리는 거의 0에 근접(즉, 매우 거리가 가깝다는 뜻, 즉 유사)할 것입니다. 


자카드 거리는 "두 집합에 공통으로 공유되는 항목은 중요한 반면에, 두 집합에서 모두 존재하지 않는 항목에 대해서는 무시해도 되는 상황, 문제"에 적합한 비유사성 측도입니다. 비교 대상이 되는 두 집합의 합집합, 교집합에 해당되는 않는 항목(item)은 그냥 제껴버리고 무시해버립니다. 


그 동안 군집분석을 소개하면서 비유사성 측도로서 거리(Distance)를 사용해왔는데요, 여기서도 Jaccard Distance를 가지고 예를 들어서 소개하고, R 로 실습도 해보겠습니다.  



[그림 1] 자카드 지표 & 자카드 거리 (Jaccard Index & Jaccard Distance)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서 아주 간단한 예를 하나 들어보겠습니다. 


5개의 상자가 있는데요, 거기에는 빨강, 노랑, 파랑 색깔의 공이 들어있다고 해봅시다. 그리고 각 상자별로 들어있는 공의 색깔을 가지고 상자들 끼리의 비유사성을 Jaccard 거리로 재보도록 하겠습니다. 



 -. 상자 1 = {노랑}

 -. 상자 2 = {노랑}

 -. 상자 3 = {빨강, 노랑, 파랑}

 -. 상자 4 = {빨강, 노랑}

 -. 상자 5 = {파랑}

 



(1) '상자 1'과 '상자 2'의 합집합(union)의 개수는 |{노랑}| = 1 이구요, 교집합(intersection)의 개수는 |{노랑}| =  1 이므로, 자카드 거리(상자 1, 상자 2) = 1 - (1/1) = 0 입니다. 


(2) '상자 1'과 '상자 3'의 합집합의 개수는 |{빨강, 노랑, 파랑}| = 3 이구요, 교집합의 개수는 |{노랑}| =  1 이므로, 자카드 거리(상자 1, 상자 3) = 1 - (1/3) = 약 0.667 입니다. 


(3) '상자 1'과 '상자 4'의 합집합의 개수는 |{빨강, 노랑}| = 2 이며, 교집합의 개수는 |{노랑}| =  1 이므로, 자카드 거리(상자 1, 상자 4) = 1 - (1/2) = 0.5 입니다. 


(4) '상자 1'과 '상자 5'의 합집합의 개수는 |{노랑, 파랑}| =  2 이며, 교집합의 개수는 |{NA}| = 0 이므로, 자카드 거리(상자 1, 상자 5) = 1 - (0/2) = 1 입니다. 


(5) '상자 3'과 '상자 4'의 합집합의 개수는 |{빨강, 노랑, 파랑}| = 3 이구요, 교집합의 개수는 |{빨강, 노랑}| = 2 이므로, 자카드 거리(상자 3, 상자 4) = 1 - (2/3) = 약 0.333 입니다. 


(6) '상자 3'과 '상자 5'의 합집합의 개수는 |{빨강, 노랑, 파랑}| = 3, 교집합의 개수는 |{파랑}| =  1 이므로, 자카드 거리(상자 3, 상자 5) = 1 - (1/3) = 약 0.667 입니다. 


(7) '상자 4'와 '상자 5'의 합집합의 개수는 |{빨강, 노랑, 파랑}| =  3 이며, 교집합의 개수는 |{NA}| = 0 이므로, 자카드 거리(상자 4, 상자 5) = 1 - (0/3) = 1 입니다. 






이를 R의 proxy package를 사용해서 풀어보겠습니다. 


먼저 proxy package를 설치하고 불러오도록 합니다. 



#===========================================

# distance(dissimilarity) calculation using proxy package

#===========================================


> install.packages("proxy")

> library(proxy)

 




proxy package는 2017년 초에 CRAN에 등록이 된 따끈따근한 패키지인데요, 총 49개의 proximity 지표(similarity measures, distance measures) 가 들어있습니다. 



> # show available proximities

> pr_DB

An object of class "registry" with 49 entries.

> summary(pr_DB)

* Similarity measures:

Braun-Blanquet, Chi-squared, Cramer, Dice, Fager, Faith, Gower, Hamman, Jaccard,

Kulczynski1, Kulczynski2, Michael, Mountford, Mozley, Ochiai, Pearson, Phi, Phi-squared,

Russel, Simpson, Stiles, Tanimoto, Tschuprow, Yule, Yule2, correlation, cosine, eDice,

eJaccard, simple matching


* Distance measures:

Bhjattacharyya, Bray, Canberra, Chord, Euclidean, Geodesic, Hellinger, Kullback,

Levenshtein, Mahalanobis, Manhattan, Minkowski, Podani, Soergel, Wave, Whittaker,

divergence, fJaccard, supremum





proxy package의 Jaccard 클래스에 대해서 간략한 설명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binary 형태의 데이터에 대한 (비)유사성 척도라고 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FALSE, FALSE) pairs 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않고 무시하며, 비교 대상의 두 객체 집합의 합집합과 교집합을 비교한다고 되어 있습니다. 


> names(pr_DB)

 [1] "get_field"              "get_fields"             "get_field_names"       

 [4] "set_field"              "entry_exists"           "get_entry"             

 [7] "get_entries"            "get_entry_names"        "set_entry"             

[10] "modify_entry"           "delete_entry"           "n_of_entries"          

[13] "get_field_entries"      "get_permissions"        "restrict_permissions"  

[16] "seal_entries"           "get_sealed_entry_names" "get_sealed_field_names"


> pr_DB$get_entry("Jaccard")

      names Jaccard, binary, Reyssac, Roux

        FUN R_bjaccard

   distance FALSE

     PREFUN pr_Jaccard_prefun

    POSTFUN NA

    convert pr_simil2dist

       type binary

       loop FALSE

      C_FUN TRUE

    PACKAGE proxy

       abcd FALSE

    formula a / (a + b + c)

  reference Jaccard, P. (1908). Nouvelles recherches sur la distribution florale. Bull.

            Soc. Vaud. Sci. Nat., 44, pp. 223--270.

description The Jaccard Similarity (C implementation) for binary data. It is the proportion

            of (TRUE, TRUE) pairs, but not considering (FALSE, FALSE) pairs. So it compares

            the intersection with the union of object sets.

 




위의 상자 5개의 공 색깔 예제를 R로 실습해 보기 위해서 아래 처럼 5개의 행(row)은 상자를 나타내고, 3개의 열(column)은 색깔(순서대로 빨강, 노랑, 파랑)을 나타내는 걸로 하겠습니다. 그리고 각 상자별 빨강, 노랑, 파랑 색깔의 공이 있으면 ' 1(TRUE)'을 입력하고, 공이 없으면 '0(FALSE)'을 입력해서 행렬(matrix)을 만들어보겠습니다. proxy package가 타카드 거리를 계산할 수 있도록 binary 형태의 데이터셋을 만드는 것입니다. 



> # making binary dataset as a matrix

> x <- matrix(c(0, 1, 0, 0, 1, 0, 1, 1, 1, 1, 1, 0, 0, 0, 1), 

+             byrow = TRUE, 

+             ncol = 3)

> x

     [,1] [,2] [,3]

[1,]    0    1    0

[2,]    0    1    0

[3,]    1    1    1

[4,]    1    1    0

[5,]    0    0    1 





dist(x, method = "Jaccard") 함수를 사용해서 Jaccard distance를 계산해보겠습니다.  위의 예에서 손으로 푼 결과와 동일한 값들이 나왔습니다. 



> # Jaccard distance

> dist(x, method = "Jaccard")

          1         2         3         4

2 0.0000000                              

3 0.6666667 0.6666667                    

4 0.5000000 0.5000000 0.3333333          

5 1.0000000 1.0000000 0.6666667 1.0000000

 




아래처럼 cross Jaccard distances 를 계산하려면 dist(x, x, method = "Jaccard") 처럼 행렬 x 를 두번 입력해주면 됩니다. 



> # cross Jaccard distances

> dist(x, x, method = "Jaccard")

     [,1]      [,2]      [,3]      [,4]      [,5]     

[1,] 0.0000000 0.0000000 0.6666667 0.5000000 1.0000000

[2,] 0.0000000 0.0000000 0.6666667 0.5000000 1.0000000

[3,] 0.6666667 0.6666667 0.0000000 0.3333333 0.6666667

[4,] 0.5000000 0.5000000 0.3333333 0.0000000 1.0000000

[5,] 1.0000000 1.0000000 0.6666667 1.0000000 0.0000000

 




proxy package에 비해서는 조금 비효율적이기는 하지만 stats package 의 dist(x, method = "binary")함수를 사용해서도 Jaccard distance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 # using stats package (less efficient than proxy package)

> as.matrix(stats::dist(x, method = "binary"))

          1         2         3         4         5

1 0.0000000 0.0000000 0.6666667 0.5000000 1.0000000

2 0.0000000 0.0000000 0.6666667 0.5000000 1.0000000

3 0.6666667 0.6666667 0.0000000 0.3333333 0.6666667

4 0.5000000 0.5000000 0.3333333 0.0000000 1.0000000

5 1.0000000 1.0000000 0.6666667 1.0000000 0.0000000

 



많은 도움 되었기를 바랍니다. 

이번 포스팅이 도움이 되었다면 아래의 '공감~' 단추를 꾸욱 눌러주세요. ^^


다음번 포스팅에서는 코사인 거리(Cosine Distance),  문자열 편집 거리(edit distance, Levenshtein metric)를 알아보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Posted by Rfriend
,